사과 껍질 속 내용물이 산소와 만나면 변질되는 이유는?
사과 껍질을 까놓고, 시간이 지나면 사과의 색이 변질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껍질이 그렇게 두껍지 않은데, 산소가 껍질은 통과를 못하는 건가요?
껍질을 벗기지 않으면 멀쩡하던 사과가 껍질만 까놓으면 까놓은 부위만 색깔이 변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 산소와 만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기에 색깔이 변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사과가 검게 변하는 이유는 갈변현상이라는 것이며,
사과 껍질이 두껍진 않지만 코팅하듯이 과육을 보호하고 있어 껍질이 있는 경우 갈변이 쉽게 일어나진 않습니다.
과육이 공기중으로 드러난 경우,
과육의 폴리페놀류들이 산소와 반응해 산화되면서 퀴논 계열로 바뀌는데 이때문에 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사과 껍질의 내용물이 산소와 만나면 산화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색깔이 변질되는 것입니다. 껍질을 벗기지 않으면 까놓은 부위만 색깔이 변하는 이유는 껍질이 사과의 내부를 보호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의 효소성분이 공기중의 산소와 접촉하면서 색깔이 변하게 되는데 이를 산화작용 이라고 합니다
이런이유로 인해 산화작용으 발생함으로 변색이 됩니다
사과가 공기 중의 산소에 노출되면 색깔이 변하게 됩니다.
이것은 퀴닌산 때문인데, 사과의 껍질을 벗기면 세포 일부가 파괴되면서
퀴닌산이 공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껍질을 벗기면 변질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를 깍으면 색깔이 변하는걸 갈변현상 이라고 합니다
이는 사과안에 있던 효소가 공기와 만나 색이 변하는 것인데
정확히말하면 사과의 폴리페놀 옥시데이즈 라는 성분이 산화되어 갈변이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육이 산소와 만나서 색깔이 변한것입니다
껍질은 아무리 얇아도 산소를 만나지 못하게 하여 껍질이 있으면 과육이 산소와 못만나요
과피가 벗겨지면 과일이 금방 상할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