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당신에게행운이가득하길~
당신에게행운이가득하길~

1979년 대한민국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이유를 정확하게 알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 중에 하나가 바로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이라고 합니다. 그당시 고속도로를 개통하고 새마을 운동으로 대한민국을 발전시킨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이 되었습니다. 혹시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이유를 정확하게 알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권력투쟁에서 밀린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시해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겠지만 김재규의 당시 정치적 입지, 상황이 10.26 사태를 만든 것이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10.26사태는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과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박정희 대통령 참모들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1972년 유신 독재 체제는 1973년 개헌청원 100만인 서명운동, 언론 자유 수호 투쟁, 천주교 정의 구현 사제단, 3.1 민주 구국 선언 등의 저항에 봉착했습니다. 그 때마다 긴급조치를 선포하거나 간첩단 조작을 통해 위기를 모면하려 했습니다. 특히 1975년 인혁당 사건은 대표적 사례입니다.

    그러나 1978년 2차 석유파동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이 약진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YH 무역 사건 이후 김영삼 의원 제명은 부마항쟁으로 유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박정희 대통령 의 참모인 김재규와 차지철의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결국 김재규는 박정희와 차지철을 살해하고 유신 체제를 종식시켰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박정희 암살과 관련학 몇 가지 설이 있으나

    차지철과 갈등을 빚던 김재규가 차지철을 제거하면서 박정희도 같이 암살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이 시기 차지철과 김재규의 상호견제는 극에 달해있었는데, 이러한 암투 속에서 박정희가 차지철 손을 들어주는 경우가 많자 결국 자신이 밀렸다고 판단한 김재규가 10.26이라고 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내렸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차지철은 성격이 안하무인이라 박정희의 총애를 받자 경호라는 본연의 임무를 넘어서서 기타 영역에까지 손을 뻗치는 월권행위를 일삼았는데, 이에 김재규 등 측근들이 차지철의 월권을 경계하는 충언을 했지만 그때마다 박정희는 차지철을 오히려 두둔했고, 도리어 차지철 앞에서 김재규에게 면박을 주는 일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로 인해 차지철의 횡포는 더 심해졌고, 때문에 김제규가 거사할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