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하늘이 높다고 하는데 정말로 하늘이 높은가요? 더높은걸 어떻게 증명한거죠?
가을 하늘은 높다라는 말이 있잖아요. 어떤계절이든 하늘은 항상 같은높이여야하지 않나요? 정말로 가을하늘이 높은것인지? 높은걸 어떻게 증명하는지 궁금합니다.
지구가 축이 기울어져 있어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 하늘이 높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여름철과 비교하여 더 맑고 맑은 하늘을 경험하기 때문에 느낀다고 합니다. 하지만 하늘이 실제로 더 높아진다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느끼는 하늘의 높낮이는 실제 물리적인 높이가 아니라, 대기 중의 물과 먼지 등의 입자들이 적은 양일 때 더 맑고 투명한 상태일 때 높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기 중 입자들이 흡수, 산란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빛이 산란되고, 색상이 붉어지거나 푸르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대기 중 입자들의 양과 상태에 따라 하늘의 높낮이를 느끼게 됩니다.
더 높은 하늘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기상청과 같은 전문 기관에서 측정된 대기의 높이를 확인해보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가 느끼는 하늘의 높낮이는 주관적인 느낌이므로,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에 하늘이 높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관찰 가능한 현상입니다. 이는 지구가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지구의 기온이 내려가고 대기의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대기가 더 투명해지고, 먼 거리까지 시야가 확보되는 것처럼 느껴지며, 마치 하늘이 높아진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하늘이 더 높아진 것은 아니며, 이는 주관적인 느낌일 뿐입니다. 과학적으로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변화가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지구 상의 고도 변화는 미미합니다. 따라서 가을 하늘이 다른 계절보다 높다는 주장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고기압은 하강 기류를 발생시켜 대기 중의 먼지를 씻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을에는 높은 고도에서의 산란까지 더 잘 보여 하늘이 높고 푸르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고기압은 대기 중 습도를 낮춰 건조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이렇게 되면 태양빛과 수증기가 부딪혀 하늘이 하얗게 보이는 현상도 줄어들어 파란색이 더욱 더 도드라져 높아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 하늘은 높다"라는 표현은 주로 가을철에 하늘이 맑아져서 더 높아 보이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하늘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계절과 상관없이 하늘의 높이는 일정합니다.
지구의 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해가 뜨고 지는 위치가 계절에 따라 변합니다. 그래서 어떤 계절에는 해가 더 높게 뜨고 어떤 계절에는 낮게 뜨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 하늘의 높이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해가 뜨고 지는 위치가 변하는 것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을 하늘은 높다"는 표현은 일종의 관찰 결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하늘이 정말로 높아졌다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 하늘이 높다는 말은 그저 일상적인 표현일 뿐이며, 실제로는 하늘의 높이는 계절에 따라 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가을 하늘을 높게 느끼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가을에는 대기가 맑아지고 공기가 건조해지는 경향이 있어서 원래는 멀리 떨어져 보이지 않았던 먼 거리의 산이나 건물 등이 더욱 뚜렷하게 보입니다. 이것이 가을 하늘을 더 높게 느끼게 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둘째, 가을에는 해가 저녁에 더 빨리 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을 저녁에는 해가 지고 난 뒤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서야 어두워지는데, 이로 인해 하늘을 더 오래 감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가을 하늘을 높게 느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늘의 높이 자체는 계절에 따라 변하지 않지만, 우리가 그것을 인식하는 방식은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