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저축 혹은 투자하는 비율은 수입의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경제 혹은 재테크 책의 일부는 수입의 10% 수준의 저축과 투자만으로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다고 하는데 10%가 적정한가요? 작은 것 같기도 하여 질문드립니다.
100세 세상이라고 하는데 아무리 의학 과학이 발달하고 있다고 해도 지금 성인기준 100살까지 살사람 얼마나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지금도 인구에 1프로도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지난 10년간 평균수명은 2년정도 올라갔습니다
대략 80세라고 보는 것이 좋을것이고요 돈에 대한 투자는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건강이 선행되야 하고 수입파이프라인이 몇개 무너지더라도 괜찮을정도로 다양한 벌이가 있어야 하니 기술이나 자격증, 임대소득, 배당소득등이 있어야 합니다
질문해주신 꾸준히 저축 혹은 투자하는 비율은 수입의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개인 혹은 가정에서 그 동안 해오신 소비 형태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물론, 10%도 적지 않은 금액이지만
아직 미혼이시라면 적어도 30% 이상으로 투자 혹은 저축액을 늘리실 것을 권유합니다.
✅️ 10%면 가장 무난한 수준이지만 더 많이 해주시면 당연히 더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30~40% 정도를 저축, 투자한다면 솔직히 꾸준함만 유지해 주면 그 사람의 노후 걱정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입니다.
안녕하세요.
본인의 목표, 자산수준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겠지만,
10%는 적은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투자로 많은 수익을 내는 경우면 모를까 저축만을 한다고 했을 때는 많이 부족할 것 같습니다.
집 관련(전세, 매매 등) 목표 등이 있으신 경우 급여의 40% 이상을 저축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0%로는 부족합니다.
10%는 노후준비 등을 위한 자금이라고 보시면 되며 내집마련 등을 위해서라면 40~50 % 이상은 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개인이 처한 환경과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입의 10%로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나이가 어릴 때는 최대한 많은 돈을 저축과 투자해야 하며, 가처분 소득이 줄어드는 40~50대 부터는 1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입의 10%를 저축하고 투자하는 건 시작하기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나의 목표나 상황에 따라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하고 투자하는 게 더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10%의 수입을 저축과 투자에 투자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좋은 습관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적정한 비율은 개인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원하는 목표에 따라서 적정한 저축 비율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산을 모으기 위한 저축을 원한다면 더 많은 비율의 저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가능하면 50%이상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수입의 10%면.. 연봉 1억인 분들도 실수령 600만원대니까 한달에 60만원 저축 혹은 투자하는건데.. 너무 적은 것 같습니다.
저축과 투자라 최대한 미래의 나에게 돈을 많이 보내놔야 나중에 후회할 일이 적어집니다.
감사합니다.
저축과 투자를 모두 포함 한다라면 저는 30 프로 정도를 하는 걸 추천합니다 물론 실수령액의 기준이고 실수령액 100만원이라면 30만원 정도 저축과 투자를 하는 것이고 실수령액이 300만원이라고 하면 90만원 정도는 저축하 투자해 배분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그 정도는 할 마음을 먹고 있어야 좋은 경제적인 습관도 기를 수 있고 향후에 큰 투자를 할 수 있는 목돈이 생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