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차순이
차순이

서브프라임의 발생원인과 극복 히스토리에 대해서 궁금해요?

서브프라임이 몇백년에 한번 나올까말까한 역대급 경제위기라고 했는데요

그걸 몇년만에 극복한 이야기가 궁금해요...그리고 왜 발생했는지 그리고 발생 전조현상은 없었는지와

왜 그렇게 크게 발생되었는지에 대해서 히스토리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 서브프라임 발생 전조는 이미 있었는데, 저신용자(서브프라임 등급)들에게 주택담보대출을 남발할 때부터 그 징조가 있었으며, 사실상 이들이 제대로 상환하지 못해 주택시장이 무너지면서 위기가 커졌던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 1~2년만에 극복을 했는데, 연준 주도로 경기가 살아날 때까지 달러를 찍어냈고 2009년 3월 시장이 반등하였습니다.

  •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는 2008년에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로, 주로 신용등급이 낮은 고위험 대출을 기반으로 한 모기지 상품이 문제가 된 것이 원인입니다. 이로 인해 부실채권이 급증하고 금융기관들이 파산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이후 정부와 중앙은행의 긴급 대책과 금융규제 강화로 위기를 극복했습니다.

  • 2008년도에 발생하였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의 경우 '서브프라임 모기지'라는 저신용자들을 위한 주택담보대출 상품으로 인해서 만들어진 결과물로 이러한 사태가 발생한 과정은 다음과 같아요

    1. 미국의 저금리 정책

    2. 증시 및 주택시장의 활성화

    3. 주택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저신용자에 대한 주택대출상품 등장(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4. 주택담보채권(저당권)에 대한 증권화 (MBS)

    5. 미국의 금리인상 진행으로 금리가 5.5%까지 상승

    6. 저신용자들의 이자상환이 힘들어지면서 연체가 급증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택대출(서브프라임대출)의 부실화 속출

    7. 주택 가격의 하락 가속화

    8. 주택 가격 하락에 따라 CDO(부채담보부증권) 손실 및 MBS의 원금 손실 발생

    9. 금융기관의 부실화 (베어스턴스에서 리먼브라더스로 더 큰 기관으로 부실화)

    10. 투자은행들(IB은행)의 붕괴 [리만브라더스 (세계4위 투자은행)의 파산]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경우에는 부동산에 버블이 형성되었고 이에 따른 관련 파생상품들에도 버블이 형성되고 이것이 무너지며냐서 금융위기가 온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2000년대 초반 부동산 가격상승으로 수요등 거래가 급증할 때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원활하게 해주었다고 합니다

    요즘 영끌이라는 말이 있는 것과 비슷한데요 대출을 무리하게 땡겼는데 가격이 하락하게 되었죠

    이당시 금융기관들은 이 대출을 기반으로 금융상품을 만들어서 판매했는데 위험률이 높았습니다

    정부는 규제를 하지않았고 금융기관에게 맡겼습니다

    이에 영끌들이 무너지면서 도미노로 다 무너졌습니다

  • 질문해주신 서브프라임 사태의 발생 원인에 대한 답변입니다.

    미국에서 부동산 거품이 극에 달하게 되고 이에 따른 부실 대출이 늘어나게 되었을 때에

    부동산 거품이 꺼진 후 발생한 부동산 가격의 급락으로 서브프라임 위기가 시작되었고

    이는 모기기론의 부실, 대규모 차압과 주택저당증권이 가치 상실을 유발하게 되었습니다.

  • 서브프라임의 발생원인은 금산 분리가 약화된 미국 시장에서 은행들의 실적 증진을 위해 저신용자들에게 대출 상환 능력 검증 없이 지나치게 대출을 많이 해준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금융회사들은 더 많은 이익을 내기 위해 MBS를 묶어 CDO를 만들고 보험사에서 CDS까지 만들면서 이익을 향유하다 보니, 리스크 관리가 전혀 되지 않으면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채물 불이행률이 높아짐에 따라 도미노처럼 리스크가 전이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