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의 발생원인과 극복 히스토리에 대해서 궁금해요?
서브프라임이 몇백년에 한번 나올까말까한 역대급 경제위기라고 했는데요
그걸 몇년만에 극복한 이야기가 궁금해요...그리고 왜 발생했는지 그리고 발생 전조현상은 없었는지와
왜 그렇게 크게 발생되었는지에 대해서 히스토리를 알려주세요?
✅️ 서브프라임 발생 전조는 이미 있었는데, 저신용자(서브프라임 등급)들에게 주택담보대출을 남발할 때부터 그 징조가 있었으며, 사실상 이들이 제대로 상환하지 못해 주택시장이 무너지면서 위기가 커졌던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 1~2년만에 극복을 했는데, 연준 주도로 경기가 살아날 때까지 달러를 찍어냈고 2009년 3월 시장이 반등하였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는 2008년에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로, 주로 신용등급이 낮은 고위험 대출을 기반으로 한 모기지 상품이 문제가 된 것이 원인입니다. 이로 인해 부실채권이 급증하고 금융기관들이 파산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이후 정부와 중앙은행의 긴급 대책과 금융규제 강화로 위기를 극복했습니다.
2008년도에 발생하였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의 경우 '서브프라임 모기지'라는 저신용자들을 위한 주택담보대출 상품으로 인해서 만들어진 결과물로 이러한 사태가 발생한 과정은 다음과 같아요
미국의 저금리 정책
증시 및 주택시장의 활성화
주택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저신용자에 대한 주택대출상품 등장(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주택담보채권(저당권)에 대한 증권화 (MBS)
미국의 금리인상 진행으로 금리가 5.5%까지 상승
저신용자들의 이자상환이 힘들어지면서 연체가 급증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택대출(서브프라임대출)의 부실화 속출
주택 가격의 하락 가속화
주택 가격 하락에 따라 CDO(부채담보부증권) 손실 및 MBS의 원금 손실 발생
금융기관의 부실화 (베어스턴스에서 리먼브라더스로 더 큰 기관으로 부실화)
투자은행들(IB은행)의 붕괴 [리만브라더스 (세계4위 투자은행)의 파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경우에는 부동산에 버블이 형성되었고 이에 따른 관련 파생상품들에도 버블이 형성되고 이것이 무너지며냐서 금융위기가 온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00년대 초반 부동산 가격상승으로 수요등 거래가 급증할 때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원활하게 해주었다고 합니다
요즘 영끌이라는 말이 있는 것과 비슷한데요 대출을 무리하게 땡겼는데 가격이 하락하게 되었죠
이당시 금융기관들은 이 대출을 기반으로 금융상품을 만들어서 판매했는데 위험률이 높았습니다
정부는 규제를 하지않았고 금융기관에게 맡겼습니다
이에 영끌들이 무너지면서 도미노로 다 무너졌습니다
질문해주신 서브프라임 사태의 발생 원인에 대한 답변입니다.
미국에서 부동산 거품이 극에 달하게 되고 이에 따른 부실 대출이 늘어나게 되었을 때에
부동산 거품이 꺼진 후 발생한 부동산 가격의 급락으로 서브프라임 위기가 시작되었고
이는 모기기론의 부실, 대규모 차압과 주택저당증권이 가치 상실을 유발하게 되었습니다.
서브프라임의 발생원인은 금산 분리가 약화된 미국 시장에서 은행들의 실적 증진을 위해 저신용자들에게 대출 상환 능력 검증 없이 지나치게 대출을 많이 해준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금융회사들은 더 많은 이익을 내기 위해 MBS를 묶어 CDO를 만들고 보험사에서 CDS까지 만들면서 이익을 향유하다 보니, 리스크 관리가 전혀 되지 않으면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채물 불이행률이 높아짐에 따라 도미노처럼 리스크가 전이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