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

역대 엑스포 개최지의 경제효과에 대한 역사가 궁금합니다.

이번 부산엑스포는 기사를 읽어 보니 경제효과가 월드컵에 4배라는 글을 읽었습니다. 기존에 역대 엑스포 개최지에 경제효과는 실제로 어느정도였는지 역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산엑스포로 예를들면

      개최 기간도 6개월로 과거 엑스포의 2배입니다. 정부는 부산엑스포 개최 시 관람객 5천만 명, 경제 유발효과 61조 원, 일자리 50만 개 창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 달 이내로 열리는 월드컵, 올림픽 평균 대비 파급효과가 4배라는 비교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KBS뉴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실 경제적 효과는 말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그 경제적 효과는 엑스포의 규모나 행사후 인프라 활용도나 전반적인 경제 여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흔히 성공한 엑스포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1851년 런던에서 열렸던 엑스포와 1967년 캐나다 몬트리올 엑스포입니다. 런던 엑스포는 최초의 세계 박람회로 6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유치하고 그 시대의 산업 및 기술 발전을 잘 보여줬습니다. 캐나다 몬트리올 엑스포도 5천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유치하고 엔지니어링 및 건축 장치인 측지선 돔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반면, 실패한 박람회도 있습니다. 1893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렸던 엑스포는 그 당시만 해도 대관람차 건설 등 건축학적 성과를 거두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했고 상당수의 국제 전시업체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2015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렸던 엑스포도 높은 비용, 낮은 참석률, 전시장 사후 활용 미비로 인해 실패한 엑스포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장기적인 효과까지 살펴보아야 하는 문제라서 수치화하기 정말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통 엑스포나 올림픽, 월드컵 개최 전에 개최 시 경제효과에 대해

      전망을 내놓곤 하는데 실제로는 그것에 미치지 못하거나

      오히려 투입된 예산에 비해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