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금성에 황산비가 내린다던데, 그럼 황산이 토지에 많이 쌓여서 부식되고 있나요?

금성은 황산비가 내린다고 하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 황산비가 내리면 지표면에 황산 성분이 쌓여 부식작용이 일어나 점점 땅이 패여들어가고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은 지구와는 다른 환경을 가진 행성으로 대기 중에는 다양한 화학 물질이 존재합니다. 그 중 하나가 황산입니다. 황산은 물과 반응하여 황산비가 내리게 되는데 이는 지구의 비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성의 대기는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이 증발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황산비가 내리는 것은 지구의 비와는 다른 현상입니다. 황산비가 내리는 이유는 금성의 대기 중에 존재하는 황산과 다른 화학 물질들이 반응하여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황산비가 내리면 지표면에 황산 성분이 쌓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금성의 지표면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지구의 지표면처럼 흙이나 바위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화산 폭발로 인해 생성된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황산비가 내리더라도 지표면이 부식되는 것은 아니며 황산 성분이 쌓이는 정도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금성의 황산비는 지구의 비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비와 같은 부식 작용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금성의 대기 중에 존재하는 화학 물질들은 여전히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이 황산비를 내리는 이유는 금성의 대기 구성 때문이다. 금성의 대기권은 주로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태양빛을 받아서 열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금성의 표면 온도는 462도에 달하며, 대기압은 지구의 92배에 달합니다.

      이러한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금성의 대기 상층부에서는 이산화황이 생성됩니다. 이 이산화황은 구름으로 상승하면서 물과 결합하여 황산을 생성합니다. 이 황산은 구름 속에서 응결되어 황산비로 내리게 됩니다.

      황산비가 지표면에 내리면, 황산 성분이 쌓여 부식작용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성의 표면 온도는 매우 높기 때문에, 황산 성분이 굳어져서 땅이 패여들어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황산 성분이 녹아서 표면을 덮어버릴 가능성이 더 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은 극도로 가열된 대기와 높은 압력으로 이루어진 행성으로, 대기 중에는 주로 이산화탄소(CO2)가 존재합니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대기 환경에서는 황산비가 내리지 않습니다. "금성에 황산비가 내린다"는 표현은 주로 천문학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실제로 황산이 금성의 대기에서 비로 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은 주로 금속물질을 산화시키기때문에,

      토양이 금속물질로 대부분 이루어진것이 아니라면 계속해서 무언가를 녹이고 있지는 않을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