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냉정한족제비190
냉정한족제비190

택시 기사님 입장에서 장거리 뛰는게 돈이 되나요?

택시 기사님 입장에서 장거리 뛰면 올때는 빈차로 와야되잖아요? 근데 시내에서는 얼마 안움직이고 바로 승객 태우고 내려주고 돌아가면서 또 태우고 그러면 시내 운행이 더 이득인가요? 아니면 장거리 미터기할때 돌아올때 빈차가 되는걸 고려해서 요금이 책정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장거리일 경우에는 공차로 돌아올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게 책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부산-서울 택시요금이 45만원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주유비, 통행비를 제외하면 30만원 정도 수익이 남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루 10시간 꼬박 운전해서 30만원이면 많은 금액은 아닌 것 같습니다.

    .

  • 어느동네에서 운전하느냐에 따라 달라질것 같아요 택시가 엄청 많은 곳에서는 아무래도 장거리 뛰는게 이득이기도 합니다. 다만 빈차로 돌아오는 것까지 고려해서 비싸게 부르겠찌요. 장거리를 뛰어서 더 이득이나 아니다는 동네에 따라 달라서 일률적으로 판단하기 힘들것 같습니다. 다만 장거리를 하루를 다 날려야 하고 그만큼 피곤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택시기사들은 잘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예약제로 보통 장거리를 뛰는것 같습니다

  • 택시 기사님 입장에서 장거리와 단거리 운행의 수익성을 비교할 때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일단 기사님들의 선호도에 있어 호불호가 갈릴 것입니다. 아무리 장거리가 돈이 된다한들 장거리를 별로 안좋아하시는 기사님은 안하시더라구요.

    결론적으로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단거리와 장거리에 대한 이득은 각각 다르고 기사님들의 운행 패턴, 차량 상태, 연료비, 그리고 승객 수요 등을 고려해 가장 효율적인 운행 방식은 달라질 것 같습니다.

  • 보통 장거리를 가게되면 하루 일하는것 이상 교통비를 받기 때문에 장거리가는걸 선호합니다. 한번 고생하면 하루일 다하는거랑 같아요

  • 날씨가 좋은날에 여행가고 싶다입니다.택시 기사님입장에서는 장거리 뛰는것이 돈이됩니다.거리가 돈이기때문에 장거리를 선호합니다.

  • 꼭 그런건 아닙니다 쉬지않고 기본요금 손님을 태운다면 그게 가장 돈이 도비니다 기본요금은 최소한의 거리를 이동하지 않더라도 무조고ㅓㄴ 부과되는 금액이라 가장 돈이되는건 쉬지않고 기본요금 손님을 태우는 경우가 가장 돈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장거리 운행 시 미터기 요금이 높아 수입이 많을 수 있습니다.

    승객을 태우고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길어 효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습있습니다.하지만 승객을 태우고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길어 연료비가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승객을 내려주고 빈차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아 수입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