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검은갈매기53
검은갈매기5323.08.12

이번 비조영 복부 MRI 검사를 했는데 유소견이 나왔습니다. 간에 결절 또는 낭종 4개로 최대 1.1cm 라고 하는데요. 어느과에?

나이
39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담낭절제

이번 비조영 복부 MRI 검사를 했는데 유소견이 나왔습니다. 간에 결절 또는 낭종 4개로 최대 1.1cm 라고 하는데요.

1. 대학병원 진료를 보려면 어느과로 가야 할까요?

2. 첨부된 결과를 보면 간암 위험이 많은 상황인가요?

3. 비조영 mri 검사이후 받아볼 수 있는 검사는 어떤게 있을까요??

선생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1. 대학병원 진료를 보려면 어느과로 가야 할까요? 과는 소화기내과가 됩니다. 간을 주로 보시는 과에 가시면 됩니다.

    2. 첨부된 결과를 보면 간암 위험이 많은 상황인가요? 낭종이라는 것은 암의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결절의 경우 네 운이 나쁘면 암일 수 있습니다. 단지 판독 내용이 조금 부실합니다. "결절 혹은 낭종" 이런 식으로는 판독이 거의 나오지 않거든요. 혈액검사의 경우 AFP는 없었나요? 지금 상황에서는 그게 더 좋겠습니다.

    3. 비조영 mri 검사이후 받아볼 수 있는 검사는 어떤게 있을까요?? 간에 비정상적인 소견이 있다는 것 이외는 확인된 사항이 없는 것 같습니다. 조영증강 복부CT부터 검사를 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1. 간담췌내과 혹은 간담췌외과를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2. 영상에서 악성 가능성이 높으면 6개월 경과관찰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험이 높아보이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언급된 바 대로 초음파검사가 있고 복부CT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결과에는 6개월뒤 추적검사 초음파라고 되어 있습니다. 대학병원 진료는 소화기내과 간 전문을 보시면 되고 진료후에 검사 종류가 정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