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발화는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일반적으로 화재는 불씨가 옮겨 붙어서 발생합니다. 그런데 이런 원인없이 그냥 불이 나는 자연발화가 있다고 하는데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자연발화는 자연상태에 쌓여있거나 누적된 퇴적물, 낙엽등에서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발화를 하게 된다고 합니다. 건조한 날씨에 강한 햇빛이라던가 폭염등이 해당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자연발화 현상은 미스테리 현상을 설명할때 나오곤 합니다.
인체발화와 같은 것은 미스테리에 가깝지만 자연에서도 인위적이 아니라 자연스레 발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연의 순환 과정에서 식물성 기름 성분들이 특정 지점에 모이게 되고 근처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면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과정이 우연히 함께 일어나게 되면 이러한 열에 의해 자연발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간혹 곡물 저장소나 퇴비가 모이는 곳에서 간혹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자연발화는 외부의 점화원 없이 물질 자체의 열 축적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자연발화가 생기는 경우는 첫째로 산소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건성유(아마씨유, 해바라기유 등), 석탄, 원면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둘째로 물질이 분해되면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셀룰로이드, 과산화수소, 염소산칼륨 등이 대표적입니다.
셋째로 활성탄과 같은 물질이 다른 기체나 액체를 흡착하면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입니다.
넷째로 화학물질이 중합 반응을 일으키면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등이 이에 속합니다.
마지막으로 미생물에 의해 발효가 진행되면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건초, 먼지, 퇴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