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에는 햇빛이 없습니다. 햇빛이 없으니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플랑크톤이 없을 것인데
심해에는 햇빛이 없습니다. 햇빛이 없으니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플랑크톤이 없을 것인데
어떻게 생물이 살아 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어떻게 에너지 원을 얻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심해 미생물이 햇빛 없이 살아남는 이유는 '수소' 라고 합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URL을 참고하시어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것 같습니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8370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양 심해는 표면에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아 광합성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심해 생물은 심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이를 위해 심해에는 생분해 세균, 동물성 생물, 화학합성 생물 등 다양한 종류의 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심해에는 열수분출공에 사는 극히 예외적인 생태를 제외하면 1차적인 생산자가 없습니다. 그래서 가장 기본적인 먹이는 상층에서 떨어지는 생물의 분비물 혹은 유해가 됩니다. 이 때문에 심해의 생태계는 매우 척박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의 에너지원은 주로 유광층에서 떨어지는 유기 물질입니다.
즉, 태양빛으로 인해 광합성이 가능한 플랑크톤이 활동가능한 수심에서 만들어진 유기물이 해저층에까지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가라앉는 유기 물질은 해마라고 하는 조류 입자, 찌꺼기 및 기타 생물학적 찌꺼기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해저 화산지역에는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에너지를 얻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 생물들은 빛이 없기 때문에 시각 외 다른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먹이를 먹고, 포식자를 피하고, 짝을 찾습니다. 심해 생물들은 대개가 거대종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의 생물들 중에는 광물이나 열수 속에 생존하는 일부의 미생물, 원생생물을 제외하면 대부분 육식동물입니다. 빛이 도달하지 못하므로(수삼 약 60m부터는 빛이 도달하지 못해 그보다 깊은 바다에는 해초류가 거의 없습니다.)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생물은 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다른 생물을 잡아먹음으로서 필요한 영양소와 비타민 등등을 섭취합니다. 그외에 햇빛이 필요한 생물들은 그곳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되거나 얕은 바다로 돌아왔을 것이고 심해에 사는 생물들은 햇빝이 없는 환경에 적응한 생물들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에사는 생물들은 수심이 낮은곳에 사는 물고기의 사체가 밑으로 내려오면 그걸 먹이로 삼습니다 고래사체의 경우 몇달동안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