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인공 비나 눈을 내리게 하는 화학적 원리는 무엇인가요?

어떤 뉴스를 보니 사람이 인위적으로 비나 눈이 오게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사람이 마른 하늘에서 비나 눈이 오게 할 수 있는지

과학적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인공강우는 인위적으로 개입하여 구름을 생성하고 발달시켜 비나 눈을 만드는 기술로 가뭄과 대기오염 저감, 산불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기 중 수증기가 냉각되어 응결핵에 물방울이 맺히는데 이때 공기 중 먼지나 소금입자, 황산염 등 에어로졸이 응결핵 역할을 수행하고 질화은 같은 물질을 공중에서 살포하여 구름입자가 더 쉽게 자라 비나 눈이 되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인공눈은 물방울을 공중에 뿌려 얼리는 방식으로 만듭니다.

    물방울을 아주 작게 만들어 높은 압력으로 뿌리면, 공기 중으로 날아간 작은 물방울들이 영항의 차가운 날씨로

    인해 얼음이 되어 떨어집니다. 이렇게 형성된 얼음 입자가 인공눈이 됩니다.

    인공비는 수증기로 가득 찬 구름에 구름씨 라고 불리는 물질을 뿌립니다.

    이 구름씨는 주로 요오드화은이나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물질을 사용합니다.

    작은 수증기 알갱이들이 핵을 중심으로 모이기 시작하며, 더 많은 수증기가 모여 물방울이 커지게 됩니다.

    물방울이 충분히 무거워 지면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어 비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