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성격이 너무급한거같아여
저희아이가 이상하게 또래이이들보다 성격이 너무급한거같은데요 교육을시켜도 통하질 않는데 교육방법을 바꿔야하는건가여??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성격이 급한 아이의 경우 구속받는 걸 싫어하고
매사에 충동적으로 무언가를 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때 아이의
의사를 존중하여 시간을 두고 지켜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점을 완화시켜주려면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아이를 위한 놀이
를 한다던지,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주어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있도록 가르쳐보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놀이나 행동부터 시작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격이 급한 이유는 참을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아이에게 참을성을 키워주셔야 합니다. 먼저 부모가 참을성을 키우셔야 합니다. 아이의 행동에 대해 즉각적으로 지적하지 마세요. 부모도 지적하고 싶은 마음을 참고 느긋하게 기다려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도움을 청할 때만 도와주세요.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기다려 주셔야 합니다. 서투르고 실수를 하더라도 참을성있게 느긋하게 기다려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잘 참는 모습을 보인다면 크게 칭찬해 주세요. 그렇게 참을성을 키우면 몸이 먼저 나서게되는 증상들이 많이 개선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격이 급하다면 오랫동안 앉아서 할 수 있는 활동인 바둑이나 그림 그리기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함꼐 명상을 하거나 요가를 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동적인 활동이 많다면 정적인 활동을 꾸준히 해주시면서 안정을 도모하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격이 급한 아이를 참을 성 많은 아이로 개선시키는 방법으로는
첫째, 아이에게 인내심을 요구하기 전에 부문의 인내심이 먼저 입니다.
부모가 너무 서두르고 조급한 모습을 보이면 아이 역시 이에 부합하거나 성격은 더 급해질 곧 과도한 행동으로 이어져 정서적인 문제로 발전될 수 있습니다.
둘째, 잘 참는 모습을 보였다면 폭풍 칭찬을 해주도록 하세요.
육아와 훈육에 있어 당근과 채찍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아이의 참을성을 길러주는 과정에 있어서도 마찬 가지입니다.
평소에 의도적으로 아이에게 참는 연습을 시켜보도록 하세요 빨리 갖다 줄 거 조금 더 느긋하게 가져다주는 방식으로 아이가 그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어 아이가 잘 참는 모습을 보였다면 꼭 안아주거나 “00가 잘 기다려주었구나” 라는 따뜻한 말로 칭찬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성격은 가정 생활 환경 및, 부모의 양육태도 등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화됩니다.
차분했던 아이가 주변 환경에 의해 활발해지기도 하고 활발했던 아이도 차분해 지기도 합니다.
아이가 너무 뛰고 소리를 지르면 부모님께서는 일관된 훈육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너무 급하게 행동하면 천천히 할 수 있도록 부모님께서도 아이에게 빠른 말 보다는 차분하게 대해 주는 게 중요합니다.
일관성 있는 양육이야말로 바람직한 성격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격이 급한 것은 아이의 성향일 수 있습니다
차분하게 앉아서 할 수 있는 활동을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퍼즐을 맞추거나, 블럭을 쌓거나, 그림을 그리게 하거나, 책을 읽게 하는 등 앉아서 할 수 있는 활동을 하게 하면 조금은 변화가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떤 일에 앞서 잠시 숫자를 세어 보게 하거나
부모님이 평소에 여유있는 생활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급하게 생각하고 행동해도
일이 빨리 끝나고 잘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알려주시길 바래요
항상 신중히 생각하도록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슨 일이 발생하였을 때
차분하게 생각하고 급하게 생각하면
일을 오히려 그르칠 수 있다고 가르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