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e와 cpi의 차이점이 뭔가요??
대충 읽어는 보았는데 확실하게 와닿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pce와 cpi의 정확한 차이와 인식 서로가 코인과 주식판에 어떻게 관여되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PCE(개인소비지출지수)는 개인의 직접, 간접 소비지출을 모두 반영해 ㅁ루가 변동을 측정하고, 분기별 소비 패턴 변화에 맞춰 가중치를 조정합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는 도시 소비자가 직접 구매한 상품과 서비스 가격 변화를 측정하며, 2년에 한번 가중치를 조정합니다. 연준은 정책 결정 시 PCE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선 두가지의 소비자 물가지수를 발표하는데 즉 CPI와 PCE이며 좀더 중요한건 PCE입니다 CPI는 노동통계청에서 PCE는 미국 상무부에서 발표를 하는 지수입니다
CPI는 도시 소비자들이 직접 지갑에서 지불하는 상품과 서비스만을 대상으로 하며 PCE는 훨씬 광범위하며 개인이 직접 구매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용주가 제공하는 건강보험료, 정부가 지원하는 메디케어나 메디케이드를 통한 의료비, 비영리단체가 개인을 대신해 지출하는 비용까지 모두 포함한 경제 전체의 소비활동을 포함하여 지수화해서 발표합니다 거기다가 매년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것도 PCE이기 때문에 PCE에 대해서 더 중점적으로 보고 가장 중요하게 여깁니다
즉 지금은 물가지수를 낮게 나오는게 중요하며 관세로 인한 물가 부담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지 않아야 연준의 금리 인하가능성에 더 무게를 주기 때문에 이부분에 있어서 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PCE와 CPI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란 (CPI)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지만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 (PCE) 는 직접 구매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지출까지 포함해서 측정하게 되는
차이점을 갖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cpi는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를 직접 담아내는 지표에 가깝습니다. 장바구니에 담는 품목을 기준으로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를 보는 거라서 생활 물가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반면 pce는 미국 상무부가 발표하는데 소비 패턴 변화를 반영하면서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합니다. 그래서 연준이 정책 판단할 때는 pce를 더 신뢰하는 편이라는 말이 많습니다. 코인이나 주식 시장에서는 cpi 발표 직후 단기적으로 움직임이 크게 나오기도 하고 pce는 중장기적인 통화정책 방향성에 무게를 싣는 식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쉽게설명드리자면
cpi는 도시가구에만 집중되어 가계 물가를 직접적으로 보는 지표이고
pce는 가계뿐만아니라 일반단체들의 소비뿐만아니라 서비스까지 모든 재화를 포함하여 나타냅니다.
cpi는 직접 지출을 보는것이고 보통 연대비를 사용하고 pce는 간접까지도 포함하며 매월 지표의 변화를 살펴볼 수있어 유동적이기에
연준 입장에서는 더 넓고 유동덕으로 소비패턴을 볼 수 있는 pce를 유심히 보는 것입니다.
cpi도 중요한 것은 cpi가 오른다는 것은 사실상 pce도 오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며 이를 통해 앞으로의 금리상황이나 증시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 투자자입장에서 참고지표로 보시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PCE는 개인소비지출을 의미합니다. 미국 상무부가 발표하는 경제 지표로, 개인과 가계가 재화와 서비스 구매에 지출한 총액을 나타냅니다. 미국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소비 행태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시 핵심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CPI와 다르게 회사나 정부가 대신 지출한 비용도 포함됩니다.
CPI는 소비자물가지수로, 전국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해 인플레이션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PCE는 주거비 비중이 CPI(34.8%)보다 낮고(16.4%),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 항목 조정을 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