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언어 발달이 또래보다 느린 경우 조기 교육기관이나 전문가의 도움을 언제쯤 받아야 하나요??
아이의 언어 발달이 또래보다 느릴 때 조기 개입이 필요한 시점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나요?
어떤 기준이나 행동 변화가 전문가 상담이나 언어 치료를 고려해야 하는 신호인지 궁금합니다.
아이의 언어발달이 또래보다 늦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문의에 따르면
18개월까지 단어 발현이 나타나지 않거나 24개월까지 두 단어 연결이 나타나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도록 적극적인 평가를 권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합니다.
아이는 생후 10~11개월경에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하게 됩니다.
생후 12개월경에는 두 단어 또는 세 단어의 의미 있는 말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18개월~24개월 사이는 언어 발달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
18개월에는 10개가량의 단어를 사용하는 정도였다면, 24개월에는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100~200개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런 점을 유심히 살펴보고 언어지연이 있다면 병원에 방문하는게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언어발달이 지연되는 가장 큰 원인은
아이가 말이 트일 시기에 적절한 언어자극이 제공되지 않아서 입니다.
아이의 언어적 제공은 아이가 말이 트일 시기에 적절하게 제공을 해주었다 라면 아이의 언어적 발달의 지연은
보이지 않았을 것입니다.
아이의 언어적 제공 방법으로는 매일 반복적으로 꾸준히 책을 읽어주는 것과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며 질문을
해주면서 아이가 답변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의 언어적 치료는 만4세 시기에 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나이 별로 정상 발달 수준이 있습니다. 해당 수준보다 현저히 떨어지거나,
아이가 말 대신에 부 정확한 소리나 짜증으로 대체를 하고, 말이 퇴행 한다고 느끼면 전문가와 상의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언어발달이 또래보나 느린경우 최대한 빨리 조기교육기관에서 언어치료를 받는게좋습니다 주 3회이상 받는거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사실 이거를 가정에서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애매한 게 있습니다. 다만, 또래보다 언어 발달이 단순히 느린 걸 넘어서, 그 나이대에 해야 하는 행동이나 발화에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필요합니다. 바로 치료를 받으라는 게 아니라 애매하다면, 그래도 검사를 받아서 아이의 상태를 진단하고 조기에 개입하여 필요한 조치를 받도록 해 주시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