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가을이오면
가을이오면

시장에 가면 심지어 90% 할인판매한다고 표시되어 있는데 실제 싸게파는 그 이유를 알고 싶네요

길을 걷다보면 점포에 90% 할인판매한다고 표시되어 있는데

이렇게 팔아도 이익이 있는건지

아니면 불량품인지 오래된 재고품인지 그 이유를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에서 상품이 90% 할인된다고 표시되어 있는 경우, 이 할인의 실제 이유는,

    과거 가격 기준: 할인 표시가 상품의 과거 정가를 기준으로 할인된 것일 수 있습니다.

    시장 전략: 할인 표시는 소비자의 주의를 끌기 위한 시장 전략일 수 있습니다.

    낮은 품질: 할인된 상품이 원래의 상품보다 품질이 낮을 수 있습니다.

    제한된 재고: 할인은 특정 재고를 비우기 위한 목적일 수 있습니다. 판매자가 곧 도착할 새로운 재고를 위해 과거 재고를 싸게 처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물론 90% 할인을 하는 경우야 다양하겠지만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쓰레기가 될 수 있는 상품들이 있기

      때문에 10%라도 받고 파는 상품이 있습니다

    • 혹은 실제 10% 가격인데 10배로 올려놓고 90% 할인을 하는 상품도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90프로 할인하는것들은 보면 도매시장에서 무게로 사오는 옷들이 많죠 100키로에 얼마 이렇게 떨이로 사와서 90프로 할인해도 남습니다 1키로에 몇백원에 사오는경우도 많죠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 한마디로 몇몇 상품에 대하여 미끼상품으로 90%의 할인을 제공하고 나머지 제품들에 대하여는 해당 할인을 적용하지 않아서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확실히 어떤 것이라고 단정지어 말할수는 없습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약간 불량상품으로 정상판매가 어려운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을수 있고,

    그것보다는 오래된 재고품이나 잘 팔리지 않는 상품 처리차원에서 대폭 할인을 하는 경우도 있고,

    미끼상품 개념으로 홍보성으로 특정제품을 싸게팔고, 오는 손님에게 다른물건도 구매를 유도할수도있습니다.

    그리고 원래 가격 자체가 그렇게 높지않은 제품을 높게 가격설정해놓고 할인한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유통기한이죠, 더이상 팔기 어려운 (보관이 어려운) 채소라던가 과일같은 것, 어묵이란것들을 떨이로 주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90% 할인판매는 일종의 마케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앵커링 효과를 이용한 마케팅이며, 90% 할인판매한다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저렴하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90% 가까이 세일판매를 하는 제품은 대부분 재고상품일 가능성이 높고, 또는 사실상 원가 수준으로 값을 떨어뜨려서 준다는 미끼상품일 수도 있습니다.

    시장이 저렴한 물건이 있다고해도 상인들이 손해를 보면서까지 물건을 파는 일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랜드가 파산했거나 제품에 하자가 약간 있거나 아니면 실제 정상가격을 부풀린 후 거짓으로 디스카운트를 한것이거나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기백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에서 90% 할인판매를 한다고 표시된 점포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큰 폭의 할인을 제공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된 이유는 재고 관리, 마케팅 전략, 계절 상품의 처리, 또는 점포의 경제적 상황 등에 기인합니다.

    첫째로, 재고 관리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상점은 자주 재고를 새롭게 갱신해야 하며, 오래된 재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떨어집니다. 특히 의류나 전자제품 같은 경우, 시즌이 지나거나 신제품이 출시되면 기존 제품의 판매가 급격히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재고를 빠르게 처분하기 위해 큰 폭의 할인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오래된 재고가 매장에 남아 있는 것보다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둘째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큰 할인율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매장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파격적인 할인 행사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할인 판매는 고객 유입을 증가시키고, 고객이 다른 상품도 구매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예를 들어, 90% 할인된 상품을 구매하러 온 고객이 추가로 정가 상품을 구매하게 되면 전체 매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셋째로, 계절 상품이나 유행에 민감한 상품의 경우, 시즌이 끝나기 전에 재고를 처분하기 위해 큰 할인을 제공합니다. 여름 의류나 겨울 스포츠 용품처럼 계절에 따라 수요가 달라지는 상품은 시즌이 끝나면 판매가 어려워지므로, 시즌 종료 전에 재고를 빨리 소진하기 위해 할인 판매를 하는 것입니다.

    넷째로, 점포의 경제적 상황이나 임대료 등의 이유로 빠르게 자금을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금 흐름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단기적으로 손해를 보더라도 재고를 현금으로 바꾸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상품을 들여오기 위해서라도 기존 재고를 빠르게 처분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불량품이나 오래된 재고품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점포들은 이런 상품들을 명확하게 표시하고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소비자 보호법 등에 따라 불량품을 정가로 판매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품들은 별도로 표시하여 할인 판매를 진행합니다.

    결론적으로, 90% 할인판매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경우에 불량품이나 오래된 재고품인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할인 상품의 상태를 잘 확인하고, 필요에 맞게 현명한 소비를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고물가 등으로 인해 조금이라도 비싼제품 구매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은 식품을 구매할 때 가성비 제품이나 유통기한이 임박해 저렴한 상품을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맞츄 대다수 유통업체들이 유통기한 임박제품, 특판제품 등으로 소비자를 끓어들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을 부풀리고 할인율을 높이는 조삼모사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점포에서 90% 할인판매를 하는 이유는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특별 행사로, 다른 상품도 함께 구매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팔아도 이익을 볼 수 있는 이유는 평소 가격에 이윤을 많이 남겨 두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할인된 상품은 오래된 재고나 유행이 지난 상품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시장에서 90퍼센트 할인까지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오래된 불량품은 아니고 재고품이기 때문에 자리를 차지하는 것도 점주 입장에선 비용이기에

    재고 처분을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