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짙푸른보석새82
짙푸른보석새8224.02.16

거미줄은 왜 끈적거리는지 이유가 궁금해요

나무에 생긴 거미집을 보면 작은 날파리나 곤충이 붙어있는데요, 거미줄은 어떤 성분때문에 끈적끈적한지 궁금합니다.

거미가 어떻게 거미줄을 만드는지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거미줄액은 단백질과 다른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끈적거리는 특성을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거미의 몸속에는 걸쭉한 실의 원료가 들어 있어요. 치약을 짜듯 그 물질이 거미의 엉덩이에서 나와 실이 된답니다. 실 자체는 씨실과 날실이 똑같습니다. 다만 씨실을 내보낼 때는 끈적끈적한 물질을 같이 내보내 바르는 것입니다.

    이 원료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구슬이 됩니다. 이 구슬이 묻은 곳은 끈적끈적할 뿐 아니라 늘어났다가 줄어들기도 해요. 그 덕분에 잠자리나 매미같이 큰 곤충도 거미줄에 걸려 잡히고 만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거미줄은 단백질과 글리코실아미노글리칸이라는 성분 때문에 끈적끈적합니다. 거미는 복부에 있는 실샘에서 액체를 분비하여 공기 중에서 응고시켜 거미줄을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거미줄은 거미가 몸에서 분비하는 액체로 만들어집니다. 이 액체에는 주로 단백질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끈적거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끈적거리는 성질은 거미가 먹이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작은 곤충이나 날파리가 거미줄에 닿게 되면 끈적거리는 성질로 인해 붙게 됩니다.

    거미는 거미줄을 만들기 위해 몸에서 분비하는 액체를 발사하는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관은 거미의 뒷다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거미가 원하는 방향으로 액체를 발사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 액체는 공기와 만나면 고체로 변하며 거미가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거미줄을 만들어냅니다.

    거미줄이 끈적거리는 이유는 거미가 먹이를 잡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 중 하나입니다. 거미줄이 끈적거리면 작은 곤충이나 날파리가 걸리게 되고 거미는 이를 이용해 먹이를 잡아먹습니다. 그리고 거미줄이 끈적거리면 먹이가 떨어지지 않고 거미의 몸에 가까이 붙어있게 되어 더 쉽게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거미줄은 거미가 먹이를 잡는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일부 거미는 땅 위에 거미줄을 만들지 않고 땅 속에 구멍을 파고 거기에 거미줄을 만들어 먹이를 잡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부 거미는 거미줄 대신 땅 위에 거미줄과 비슷한 끈적거리는 액체를 뿌려서 먹이를 잡기도 합니다.

    거미줄은 거미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거미는 거미줄을 통해 먹이를 잡고 그리고 자신을 위협하는 적을 방어하는데에도 사용합니다. 거미줄이 끈적거리는 이유는 거미의 생존 전략 중 하나이며 거미의 놀라운 능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거미줄위에 끈적끈적한 당단백질로 이루어진 방울이 물집형태로 여러 방울이 줄지어있어 이것에 의해 끈적한 성질이 만들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