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정말적극적인하이에나
정말적극적인하이에나

솔로우모형에서 저축률 상승시 1인당 생산량의 변화

안녕하세요

솔로우모형에서 1인당 경제성장률은 g(기술진보율)라고 하는데, 저축률이 상승해도 1인당 생산량이 증가하잖아요.

그럼 저축률도 1인당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률 상승 → 1인당 생산량 증가

    저축률이 오르면 자본이 늘어나 1인당 생산량이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갑니다.

    하지만 이건 일시적인 효과입니다.

    장기 성장률은 기술진보(g)

    저축률은 경제가 얼마나 높은 수준에서 운영되는지를 결정하지만, 계속 성장하려면 기술 발전이 필요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저축률은 집을 더 크게 짓는 것과 같아요.

    큰 집(높은 생산량)에서 살 수 있지만, 집 크기가 계속 커지려면 기술(새로운 건축 방법)이 발전해야 해요.

    결론적으로, 저축률은 1인당 생산량의 수준을 올려주지만, 성장률(계속 증가하는 속도)은 기술진보(g)에 달려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 부분이 처음엔 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솔로우모형에서 저축률이 높아지면 자본축적이 빨라지고 그 결과로 1인당 생산량은 일시적으로 증가합니다. 근데 이건 어디까지나 과도기적인 효과입니다. 장기적으로는 기술진보율이 일정하면 1인당 생산량의 성장률은 결국 그 g에 수렴합니다. 저축률이 바뀌어도 새로운 정상상태로 가는 경로만 달라질 뿐이고 그 경로가 끝나면 다시 g만큼 성장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저축률은 성장률의 수준 자체보다는 생산량 수준에만 영향을 준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솔로우 모형에서 저축률 상승시 1인당 생산량의 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솔로우 모형에서 저축률이 상승하게 되면

    1인당 자본량과 1인당 소득을 증가시키기에

    경제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률의 증가나 인구증가율의 변화는 솔로우 모델에서 성장 효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솔로우 모델에서 안정상태의 자본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저축률인데요. 저축률이 증가하면 투자가 증가하여 안정상태의 일인당 자본량은 증가하고, 반대로 저축률이 감소하면 투자가 감소하여 안정상태의 일인 당 자본량은 감소합니다. 따라서 저축률이 증가하면, 안정상태의 일인당 자본이 증가하여 경제성장이 빠르게 진행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솔로우 모형에서 저축률이 증가하면 1인당 생산량 수준 증가로 일시적인 성장률 증가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성장률은 기술진보율 g에 의하여 결정이되며 저축률은 더 높은 생활수준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지 성장률에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