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일반적으로 물류나 택배 관련 회사명에 로지스(틱)를 많이 사용하는데..

국내 많은 물류회사들의 사명이 로지스 혹은 로지스틱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던데..

이 단어의 어원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지만 최근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도 등장하던데..

물류회사에서 이런 '로지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로지스틱스는 본래 병참을 의미하지만 유통 합리화의 수단으로서 원료 준비, 생산, 보관,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물적 유통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종합적 시스템을 가리키게 되었습니다.

    원료 준비 측면에서만 물적유통의 합리화를 생각하면 그 후의 과정에서 합리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생기기 때문에 전체를 토털시스템으로 구성하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지스코어㈜ 심볼마크는 물류를 하는 LOGIS(LOGISTICS의 약자)와 중심, 핵(核)을 하는 CORE의 합성어로서, 글로벌 비즈니스를 이끄는 물류의 중심축이 되고자 하는 것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한국로지스틱스학회에서는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

    로지스틱스라는 용어는 과연 언제, 어디에서 유래 되었을까?

    물류의 영문용어인 “Logistics"가 고대 그리스어인 ”Logos"(λόγος)에서 유래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Logos"는 계산(calculation), 추론(reason)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물류의 역사는 전쟁과 많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전쟁을 위해서는 군사의 이동에 따라 무기와 물자를 보급하고 이를 관리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 로마, 비잔틴제국 시대에 “Logistikas"라고 불리는 전쟁을 위해 물자와 자금을 담당하는 장교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프랑스 나폴레옹도 병참을 담당하는 장교와 부대명칭을 “Logistique"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이 "Logistique"가 물류를 지칭하는 영문용어인 ”Logistics"로 발전하였다는 것이 현재 가장 유력한 견해이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로지스틱스 (LOGISTICS) 라는 단어는 물류관리+자재관리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원래는 logistique 라는 프랑스 언어로 군사적 의미의 물자 조달이며 이것이 미국의 군사 용어로 logistics (병참)사용 하였다고 합니다. 현재는 거의 배송, 보관, 관리 등의 의미를 가지는 물류와 로지 스틱스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물자가 전달되는 총체적인 과정을 말한다.

    로지스틱스( Logistics ) 란 본래 "병참(兵站)"이라는 군사용이다. 전시의 무기, 식량, 의료 등의 물자 이동과 보관, 수송 등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