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참매와 새매같은 맹금류가 왜 지금은 도시에도 살게 되었나요?

집비둘기가 다른 새들보다 도시에 더 잘 살게 된 이유가 옛날 88 올림픽 때 행사용으로 날려보낸 뒤에 시작되었잖아요.

그래서 지금도 건물이나 교각에 숨어서 지내다가 갑자기 날아오르며 병균을 퍼트리죠.

그래서인지 이제는 맹금류도 달라졌어요.

나중에는 황조롱이와 새호리기, 새매, 참매, 말똥가리 같은 맹금류도 시골 뿐만 아니라 도시에 나타나게 되었더라고요.

참새나 제비, 박새, 직박구리, 찌르레기, 멧비둘기, 까치, 까마귀 등 다른 새들도 산과 들을 떠나 가끔 도시의 음식쓰레기나 식물의 씨앗, 곤충들을 사냥하러 왔는데 왜 나중에는 맹금류도 같이 나타나게 되었나요?

먹이인 작은 새를 쫓아서 도시까지 출몰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이 사는 범위가 더 넓어졌음이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도시지역이 넓어지면서 맹금류의 서식지와 사람의 생활권이 더 많이 겹치게 되었습니다.

    또한 말씀하신 것처럼 도시에 먹을 것이 많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참새나, 제비 등은 사람들의 생활공간과 가까운 곳을 선호하기에 결국 주거지역에 많이 서식합니다.

    비둘기, 까치, 까마귀도 사람들의 생활권에서 같이 산지 오래되었고

    결과적으로 이를 주식으로 하는 맹금류는 도심이 먹이를 구하기 더 쉬워졌습니다.

    그리고 고층건물과 아파트 위주의 건물이 많기에 몇몇 맹금류들에게는 오히려 더 서식지로 선호될 수 있습니다.

    참매와 새매가 도시에서 자주 발견되는 것은

    이들이 도시환경에 적응하기에 더 적합하고, 도시환경이 큰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렇지 않은 맹금류의 경우 도시의 소음과 밤의 빛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선호하는 먹이가 서식하지 않는 경우 오히려 점점 도시에서 먼 곳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맹금류가 도시에 출현하게 된 주된 이유는 도시 환경이 제공하는 풍부한 먹이 자원과 서식지 때문입니다. 도시의 비둘기, 참새, 까치 등 소형 조류의 증가는 맹금류에게 안정적인 먹이 공급원이 되었습니다. 또한, 높은 건물들은 자연 절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여 둥지 짓기에 적합합니다. 도시의 열섬 효과로 인한 따뜻한 기후와 야간 조명은 사냥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줍니다. 게다가 도시 녹지의 확대와 생태계 복원 노력은 맹금류의 서식 환경을 개선했습니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시골 지역의 서식지 파괴와 농약 사용 증가도 맹금류가 도시로 이동하게 된 요인 중 하나입니다. 결과적으로, 맹금류는 도시 환경에 적응하며 새로운 생태적 지위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 참매와 매 같은 맹금류가 도시에 살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도시는 다양한 먹이 공급원입니다. 특히 쥐와 벌레, 심지어 집 고양이와 개와 같은 작은 포유류까지 도시에는 맹금류가 먹을 수 있는 먹이가 풍부합니다.

    또한 쓰레기 더미와 음식물 쓰레기 역시 쉽게 얻을 수 있는 먹이 공급원이 됩니다.

    그리고 도시는 높은 건물과 나무가 많아 맹금류가 둥지를 짓고 앉을 수 있는 장소가 많습니다. 전신선과 타워는 맹금류가 주변을 내려다보고 먹이를 찾을 수 있는 높은 관측점 역할을 하고, 폐허와 버려진 건물은 맹금류에게 은신처와 둥지 마련 장소를 제공합니다.

    또한 인간은 의도하지 않게 맹금류에게 도움을 줍니다. 살충제는 맹금류의 먹이가 되는 설치류 개체수를 증가시키고, 로드킬과 같은 교통 사고는 일부 맹금류에게 먹이 공급원이 되기도 합니다.

    참매와 같은 맹금류가 도시에 살게 된 이유는 먹이 공급원, 서식지, 인간의 영향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며 그 중에서도 먹이 관련이 가장 큰 이유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