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진기한메추라기147
진기한메추라기147

한달에 얼마 이상 벌면 잘버는축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9
직업
징장인

나이 불문 한달에 얼마 이상 벌면 잘버는거라고 할 수 있을까요?

나이먹고 노후 즐기고 샆고 싶은데

수입이 적으니 저축하기가 어렵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개인이 처한 상황과 취업한 직장에 따라 천차만별이라 정확한 답변은 어렵습니다만, 최근 통계에 따르면 20대 후반의 평균 연봉이 3,600만원대라고 합니다. 이에 이보다 잘 번다면 평균 이상은 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특별히 높은 인원들도 포함되다 보니 너무 매몰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문제는 개개인 별로 생각의 차이가 매우 클 것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다다익선이긴 하겠지만, 누군가는 500만원 이상벌면 잘 버는 것이라고 할 것이고, 누군가는 월 1천만원 이상은 벌어야 잘 버는 것이라고 할 것입니다. 개인마다 기준이 매우 다른 문제입니다.

  • 보통 중산층이상 월500만원을 얘기합니다

    그러나 월1000만원을 벌어도 빚에 허덕이는 사람들 간혹 봅니다

    소비가 갈수록 오바되고 돈 좀 번다고 주변에 똥파리가 끼더군요 얼마를 모아가는지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개인마다 경제 상황이나 생활환경이 모두가 다 다릅니다. 현재 대한민국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가구소득 중앙값은 4,720만원이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에서는 적정 노후 생활비로 부부 기준 월 243만원이 필요하며 개인기준으로는 월 154만원 정도가 필요하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각 개인의 자산이 얼마나 형성되어 있는지, 주변 경제나 가정 환경은 어떠한지에 따라 개인별로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나이가 들어도 지속적으로 수입을 창출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다양한 수익원을 모색하기 위해 끊임없이 매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연봉 8700만원이 우리나라에서 상위 10% 정도의 소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기 떄문에 연 700만원 이상이라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소득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사람마다 많이 버는 것의 기준이 다르므로 제가 남겨드린 링크를 보시고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kimgr1010/222982609219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나이와 어떤 조건 없이 얼마를 벌어야 잘 버는지에 대한 기준을 잡기 어렵습니다. 가족이 많을 수도 있고 직업에 따라 많고 적음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모든 조건을 배제하고 수입을 잡아본다면 월 1천만원을 번다면 잘 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서로 다른 경제적 상황과 생활 환경을 고려해 일반적인 나이별 소득 수준을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은 2022년 기준으로 50대와 60대의 월평균 최소생활비를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각 약 224만원과 174만원으로 최소한의 생활비를 유지하기 위한 금액으로 개인의 필요와 선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 1인 기준으로 한달에 세후로 300만 원을 초과해서 벌면 솔직히 잘 버는 축에 속합니다. 만약 세후 400만 원 정도라면 한 달 생활 및 저축, 투자에 전혀 무리가 없는 수준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사람마다, 나이대마다 가치관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월평균 임금은 352만 6,000원입니다.

  • 질문하신 얼마 이상 벌어야지 잘버는 축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5-29세의 2022년 평균 월소득은 287만원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이것보다 더 소득이 높으시면 잘버는 축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이는 사람의 욕구에 대한 문제로 1,000만원을 벌어도 모자라게 느끼는 이들도 있고

    300만원을 벌어도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기에

    전적으로 질문하신 분에게 달린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