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한국에서 제조업을 운영하기 힘든 이유가 궁금해요?

얼마전 다큐에서 과거부터 한국 경제의 성장과정에 대해 다룬것을 보앗고 그 시기부터 지금까지 제조업과 지금의 제조업을 비교하며성장의 힝듦에대한 얘기 가잇엇는데요.

지긍 의 한궁에서 제조업이 살아나려면 어떤것들이 필요한지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국에서 제조업체가 살아남기 힘든 것은 내수경제의 규모가 작다는 점과 제조업의 가장 기본적인 원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결국 수입과 수출 모두 외수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볼 수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제조업은 단가가 굉장히 중요하다. 또한 생산량도 중요하다. 지난 정부에서 과감하게 인건비 올리고 노동시간 줄이고 강성노조 키우면서 그 여파가 지금도 이어져서 한국 시장에 제조업은 메리트가 없다. 부가가치가 높은 반도체가 운 좋게도 수요 사이클을 만나 그쪽 부분만 성장했을 뿐, 나머지 제조업은 지속해서 안 좋아져 왔다. 게다가 직구가 가능해진 시대에 굳이 비싼 물건을 쓰지 않는다. 제조업이 흔들리면 고용이 엄청나게 준다. 그에 딸린 중소기업들하고 직원들, 그에 딸린 지역경제 자영업들 어마어마한 숫자가 영향을 받는다. 지난 정부 때 세금으로 맨날 아르바이트 자리 만드는 걸로 고용을 해결하려던 게 잘못되었다.

  • 나쁘게 말하면 기술개발해서 대기업에게 기술을 판다고 합니다

    특히 똑같은 제품이라고 해도 한국사람들 조차 대기업거 사지 중소기업거를 안산다고 합니다

    우선 땅값이 비싸고 인건비가 비싸니 제조원가가 시작부터 어려운데 그것을 이미 선점 독점하고 있고

    것과 싸운다는 것은 엄청난끈기와 돈이 필요하겠죠

    가까운 동남아에서 만들고 그곳에서 판매하게 하려한다면 모를까 말입니다

    뭔가 잘되면 또 이사람저사람 다 뛰어들어 판매가경쟁을 합니다. 치킨게임처럼

  • 노동비용 상승은 한국의 노동시장이 높은 임금 수준과 노동조합의 강세로 인해 제조업체들이 경쟁력을 잃게 만들었으며 젊은층이 힘든일을 꺼려하는 것도 요인 중에 하나 입니다.

  • 질문하신 한국에서 제조업을 운영하기 힘든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제조업은 노동집약형태의 산업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중소 제조업체들의 가장 큰 고민은

    안정적인 인력수급이지만

    이것이 현재는 거의 어렵다고 봐야 하기에

    운영하기 힘든 것입니다.

  • 우리나라는 내수 시장이 미국이나 중국처럼 거대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업이 성공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가 제조업에서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만 소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출 방법을 모색을 해야 합니다. 이런 환경으로 인해서 우리나라의 제조업은 다른 거대 나라보다 불리할 수 있습니다.

  • 제조업을 하기 힘든 이유 중에 하나가 최저 임금이 많이 오른 것도 있습니다. 최저 임금이 많이 오르면 안 된다라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비해 급속하게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힘든 제조업이 아니라 편의점 아르바이트 같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일에 사람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또한 가장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 젊은 인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또한 가장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 젊은 인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생산직은 상대적으로 몸을 써야 하기 때문에 젊은 인구가 중요한데 젊은 인구 자체가 줄어들고 있고 또한 젊은 인구가 사무직이나 서비스직은 할려고 해도 생산직 현장직은 잘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람 구하기가 힘들다는 말이 많이 있습니다.

  •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인건비도 비싸고 더불어서 원자재 등의 수입단가가 높은 등 이에 따라서 제조업을 운영하기 힘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전문가 입니다.

    혁신적인 기술 도입과 연구 및 개발 확대가 가장 중요하며, 고용창출을 위한 일자리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각종 법인세 등 세제혜택과 제조업 연구소 설립, 인력양성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핵심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