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쏘시리
쏘시리

당뇨 전단계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어떻게 관리를 해야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53
기저질환
없습니다
복용중인 약
없습니다

최근 정기건강검진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문자가 왔습니다.

당뇨 전단계이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자였습니다.

이런상황에 가장 우선적으로 관리를해야할 몇가지를 소개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당뇨병 전단계는 혈당치가 정상범위보다 높지만 당뇨병 진단 기준보다는 낮은 상태로, 내당능 장애와 공복혈당 장애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진단 기준을 살펴보면 공복혈당이 정상인은 100mg/dL 미만, 당뇨병은 126mg/dL 이상이며, 내당능 장애는 공복혈당 100mg/dL 미만, 2시간 혈당 140~199mg/dL입니다.

    공복혈당 장애는 공복혈당이 100~125mg/dL로 높지만 식후 2시간 혈당은 140mg/dL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내당능 장애는 경구당부하검사에서 식후 2시간 혈당이 140~199mg/dL이고, 당화혈색소가 5.7~6.4%인 상태입니다. 공복혈당 장애와 내당능 장애는 당뇨병 발병 위험이 정상인보다 5~17배 높으며,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요인으로 간주됩니다. 대혈관 질환 위험도 높아지고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복부비만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공복혈당 장애가 있는 경우 연간 2~14%에서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뇨병 전단계에서는 비만, 과식,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의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비만한 고위험군은 초기 체중에서 5~10% 체중 감소를 목표로 주당 150분 이상의 중등도 유산소 운동과 식사요법을 권장합니다. 당뇨병 선별검사를 매년 받아 조기 발견을 도모하고, 체질량지수(BMI) 35㎏/㎡ 이상, 당뇨병 가족력, 중성지방 증가, 좋은(HDL) 콜레스테롤 감소, 고혈압, 당화혈색소 6.0%를 초과하는 경우 메트포르민 약물치료를 권장합니다.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5~10% 체중을 감량하면 5~8%에서 당뇨병 예방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당뇨병 전단계에서 당뇨 교육을 받고 구체적인 관리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 당뇨로 가기 전 단계에서는 고탄수화물이나 고지방식이를 줄이는 것이 좋으며

    음주나 커피 등도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방이 많을 수록 당뇨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하루 30분 이상 땀을 흘릴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은 데 주로 조깅, 언덕 오르기 등 근력과 지구력을 같이 올릴 수 있는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