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이 0.1%높아져 0.9%로 전망한다는데 취업 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이번에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이전 0.8%보다 0.1더 높인 0.9%로 전망한다고 하더라고요. 경제 상황이 정말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와중에 그래도 소폭이나마 오른게 다행인가 하면서도 취업시장은 어떻게 될지 걱정되더라고요. 특히 이번에 특히 건설업 부진이 심각하다고 하는데, 이 분야에서 일하시는 분들이나 관련 업종 종사자들은 어떤 대비를 하고 계신가요? 또한 이런 저성장 상황에서 개인이 할 수 있는 준비나 대응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내수 시장도 정말 어려운 상황인 것 같던데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 걱정되면서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률은 소폭 조정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저성장이 계속되면서 취업자 수의 증가폭은 커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취업 준비에는 다각도의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성장률 전망치가 0.8%에서 0.9%로 소폭 상향 조정된 것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여지는 있지만, 취업 시장 전반에 큰 훈풍을 가져오기는 어렵습니다. 0.9% 성장은 한국의 잠재 성장률에 한참 못 미치는 '심각한 저성장' 상황입니다. 취업자 수 증가는 경제성장률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정부 및 연구기관들은 성장율 하향과 내수 부진 등의 영향으로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전년 대비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취업 시장의 활력은 IT/반도체, AI 전환 관련 첨단 산업 등 수출 중심의 일부 분야에서 나타나고, 내수 소비, 건설, 제조업 등 전통적인 고용 창출 분야에서는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국내 경제지표는 0.1%포인트 상향 조정은 통계적 오차 범위에 가까운 미미한 변화로, "마이너스 성장은 피했다"는 정도의 의미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0.9%가 한국의 잠재성장률약 2.0~2.5%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는 점입니다.
본래 가능한 성장 능력을 크게 밑돌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미 기업들의 채용 전략이 근본적으로 보수화될 것입니다. 신규 정규직 채용보다는 경력직 위주의 선택적 채용, 계약직이나 프로젝트 기반 고용이 증가하고 있고특히 청년층과 신규 졸업자들의 취업난이 심화되며, 괜찮은 일자리를 둘러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이미 현재진행중입니다.
거기다가 국내 대기업들이나 그룹사는 국내 제조업투자나 캐파투자는 사실상 진행하지도 않고있고 이미 제조업 공동화현상으로 외국으로 직접투자가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률이 소폭 오르더라도 체감 취업시장 회복은 더딜 수 있습니다. 특히 건설업, 제조업 부진이 취업에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개인은 재교육, 이직 준비, 내수 관련 분야 관심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 성장률이 조금이라도 오른 것으로 전망될 때 취업 시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론, 0.1퍼센트 상승이 큰 수치는 아니지만
그래도 취업 시장에 조금이라도 더 도움이 되어서
몇 명이라도 더 뽑히게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성장률이 0.9%로 올라갔다고 해도 체감은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 보입니다. 고용은 결국 산업별 흐름을 따라가는데 건설처럼 이미 침체가 깊은 쪽은 회복 신호가 더디게 나타나죠. 보기에 제조업이나 수출 중심 업종은 반짝 숨통이 트일 수 있지만, 내수 기반 서비스업은 여전히 답답할 겁니다. 취업시장 전반으로 보면 안정적인 일자리는 더 줄고 단기계약직 위주로 늘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경제성장률이 소폭 상승하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0%대라는 점에서 내수 경기가 매우 안좋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데요. 건설업 부진에 직면해 있어 건설업계는 정부 정책 기대와 디지털 기술 도입으로 대비 중이며, 해당 분야 종사자 입장에서는 저성장 시대에 맞춰 지속적인 자기 계발, 재정 건전성 확보, 다양한 수입원 모색, 정보 탐색 능력 향상, 사회 안전망 활용 등을 통해 불안정한 경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