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기운찬돼지294
기운찬돼지294

비트코인 적립식 투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저점매수 한다고 차트 계속 쳐다보기도 그렇기도 하고 주식투자에 관심이 많은 친구가 저점 노리지 말고 소액으로 조금씩 적금 붓듯이 적립식으로 비트코인 매수하다보면 10년후 큰돈 될꺼라고 추천하던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제 생각에는 이것도 맞지만 일단 이번에 저점 오면 좀 큰 금액으로 매수하고, 소액으로 매월이나 매주 눌릴때마다 적립식으로 갈려고 하는데 여러분 의견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같은 경우도 매주 분할매수 하고 있습니다. 주식의 경우 미국이나 한국의 장기 20~30년 차트를 보면 크고작은 경제위기가 있어 왔지만 계속해서 우상향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코인의 경우 아직 역사가 짧아 확신은 없기에 비트코인, 이더리움 위주로 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액투자하고 있습니다. 차트를 보고 고점과 저점을 잡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고 생각하며 워렌버핏 또한 본인도 그런 예측은 할 수 없다고 했으며 본인의 수익률은 장기투자에서 나온다고 했습니다. 적당한 타이밍으로 생각될 때마다 분할매수 하시는게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금리인상, 테이퍼링, 양적긴축 등으로 인해 주식이나 코인 시장에는 안좋은 영향이 많이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존재하는 수많은 암호화폐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신원 미상인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2008년 10월에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제목의 9쪽짜리 논문을 통해 공개되었고, 2009년 1월 3일에 비트코인이 처음 발행(제네시스블록)되었습니다.

    15년이 안되는 역사동안 사실상 가치가 0과 다를바 없었던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은 약 5만달러가 되었으며, 앞으로의 상승가치를 더 높게 보는 시각들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기존 화폐와 달리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기관의 개입없이 개인간(P2P)의 빠르고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며, 정부가 원하면 더 찍어낼 수 있는 기성 화폐와는 달리 최대 발행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가치판단의 시각으로 접근한다면 단기적 투자(단타)보다는 장기적 투자의 마음을 갖고 접근하여야 하며 여유자금으로만 투자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코인을 공부하시고 싶다면 각 코인들의 백서(a white paper)를 보시면 도움이되며, 가볍게는 업비트와 같은 사이트에서 각 코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암호화폐)의 과세는 결국 투자자에게는 부담이지만 '과세있는 곳에 세금있다'라는 개념으로 접근한다면 제도권 편입을 위한 첫걸음이라 생각합니다.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는 2022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1월 1일로 미뤄졌습니다.

    국내 거주자라면 2023년부터 매년 가상자산을 사고팔거나 빌려줘 번 돈(기타 소득) 가운데 250만원 기본 공제를 한 뒤 나머지에 대해 20% 세금을 물어야 하고. 해외 거주자, 외국 법인이라면 거래소 등 가상자산 사업자가 세금을 원천 징수하고 당국에 일괄 납부하는 방식이 적용됩니다.

    시행 시점이 2023년으로 미뤄지면서 실제 세금을 내야 하는 시기도 1년 뒤인 2024년으로 늦춰졌습니다. 1년 치 투자 소득을 다음 해 5월 직접 신고ㆍ납부하도록 돼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잔망루피입니다.

    장기적으로 볼때 상승한다는 관점으로 접근하시면 두분의 의견이 모두 맞다고 보입니다. 다만 저점을 집어낼수 있다는 가정하에는 작성자분의 말씀이 좀더 설득력이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