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코드 자동 분류 기능이 확대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HS코드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AI 기술이 전국의 관세 행정에 보급되어 표준으로 적용 될 가능성은 없을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HS코드 자동 분류 AI는 이미 일부 국가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한국도 통관 효율화와 분류 오류 감소를 위해 확대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모든 품목에 표준 적용하려면 방대한 학습 데이터와 품목별 세부 판정 기준을 반영해야 하고, 책임 소재 문제도 정리돼야 합니다. 초기에는 단순반복 품목 위주로 도입 후 점차 범위를 넓히는 방식이 현실적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HS CODE를 분류하는 업무가 쉽지 않으며 예전에는 책자로 현재는 사례 및 신고데이터 등을 검색하는등 많이 발전되긴 했습니다. 다만, AI 기술로 자동분류나 확률이 높은것으로 분류를 하는 개발이 되고 있는데 아무래도 표준으로 보급되기에는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봅니다.
HS CODE라는 것이 신기술 및 제품의 발전속도에 따라가는 것이 늦다보니 5년 주기로 개정되면서 새로운 코드로 제정되고 있다보니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HS코드 자동 분류는 이미 일부 민간 시스템에서 시범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품목 설명과 통관 이력 데이터를 학습시켜서 코드를 추천하는 방식인데 품목명이 복잡하거나 용도가 혼합된 경우에는 아직 오분류 가능성이 큽니다. 전국적으로 표준 적용을 하려면 법적 기준과 시스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고 품목분류 사전심사 제도와도 충돌되지 않게 설계해야 합니다. 세관 입장에서는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이 분명하지만 잘못 분류됐을 때 발생하는 추징 문제나 분쟁 가능성을 줄이는 장치가 필수입니다. 기술 발전 속도로 보면 장기적으로 가능성은 있으나 당장은 보조 기능 성격이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hs code에 관한 많은 규정(호의용어, 주규정 등) 및 해설서를 토대로 ai가 hs code를 분류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전문가인 관세사들도 이에 대한 활용을 적극적으로 하는 날이 올 수도 있습니다.
다만, hs code는 기업간, 국가간 시각차이가 있는 경우도 존재하며, 정확한 품목분류를 위해 ai에 의존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조적인 도구로서 ai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표준이 되기 위하여는 AI의 성숙도가 크게 증가하여야 됩니다. 말씀하신대로 이뤄지면 HS code 분류와 관련된 많은 업무들이 단순화되겠지만 이러한 HS code의 분류는 단순히 물품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각 국가들의 일관된 분류 및 판정요청 양식이 갖춰져야지 이러한 분류가 신빙성을 갖게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