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직도자랑스러운홍차
아직도자랑스러운홍차

독일의 노동환경에 대한 질문입니다.

독일은 사무직이 아니더라도 사무직과 다를게 없는 돈을 받기 때문에 경쟁이 아시아권 국가에 비해 빡세지 않다고 합니다. 그만큼 현장직도 독일에선 기피직업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저는 독일이 이러한 환경이 만들어진 것에는 돈만이 문제가 아니라고 보는데 혹시 현장의 노동환경도 잘되어있어서 그런게 맞나요? 맞다면 독일의 현장직 환경과 한국의 현장직 환경에선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일 정부와 독일 국민들은 독일 경쟁력의 원천이면서 해법이 ‘사람’이라는 사고를 바탕으로 인간 중심의 노동조직을 창출해내고자 하는데요. 각종 정책과 규제 등도 그와 같이 노동자를 생각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 노동자들과는 근무 여건이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제 베프가 독일 살아서 제가 독일 근무환경을 좀 아는데 보면 주 35시간 정도 일을 합니다

    대우는 사무직이나 현장직이나 크게 다를거 같진 않구요 독일은 사회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어서 노후에 연금만 받고 사는 분들도 많다고 하더라구요 대신 소득세율이 높습니다 제 친구가 소득세 30프로 초반으로 내는데 이게 적게 내는거라고 하더라구요

    그러니 좀 덜 일해도 노후에 받는 돈이 꽤 된다 마인드가 사회 전반적으로 깔려있다고 보입니다

    우리나라 환경이랑은 많이 틀린거죠 우리는 하루벌어 하루 살아야 한다 생각하는 사람들이 현장직에 많다면 독일은 그런 마인드는 아니라는거죠!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일의 노동강도는 한국에 비해 작은 편입니다. 이는 노조의 힘이 보다 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일단 독일의 경우 주당근무시간이 약 35시간이며, 한국의 경우에는 52시간으로 되어 있스비다. 다만 한국의 경우에는 법적 근로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실제로 활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중소기업에서 보다 더 많은 경우가 나타납니다. 또한 초과근무에 대한 부분도 독일의 경우에는 한만큼 돈을 받는 구조라면, 한국에서는 이러한 초과근무를 인정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일 현장직이 우리나라처럼 기피 대상이 아니라는 말, 꽤 자주 들립니다. 단순히 월급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현장에서 일해본 분들 얘기 들어보면, 독일은 작업 강도 자체가 무리 없고, 주52시간 철저히 지키고, 휴식권도 완전히 보장된다고 하더군요.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여전히 야근, 휴일근무, 안전 문제까지 엮이면 몸보다 정신이 더 힘들다는 말이 많습니다. 구조적으로도 독일은 직업훈련 시스템이 탄탄하고, 기술직에 대한 사회적 존중도 있어서, 현장직이라고 해서 대우가 떨어진다는 인식이 별로 없다고 합니다. 그러니 독일의 분위기는 단순한 임금 문제를 넘어서, 일하는 조건 자체가 괜찮으니 사람들이 피하지 않는다는 쪽에 가까운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독일의 노무 환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유럽의 노동환경은 한국의 노동환경보다는

    나은 면이 있다고 합니다.

    다만, 독일의 근로 소득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해보셔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일의 현장직은 임금뿐 아니라 노동환경이라던지 사회적 인식이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학력위주 사회로 현장직은 학력이 낮은 계층이 일하는 곳이라는 편견이 있습니다.

    독일은 전문성과 실력을 중시하는 문화로 현장직도 숙련된 기술자가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문화적 관점의 차이가 독일의 노동환경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독일과 같은 경우에는

    근로자 친화적인 법을 가지는 등

    이에 따라서 노동자들이 어느정도의

    높은 근로여건을 가지는 것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