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뿌리깊은로즈마리
뿌리깊은로즈마리

곤충의 등혈관이 대혈관인가요???

해충학 공부 중인데 곤충의 내부구조에서 순환계에 대해 보던 중

나무위키와 책에서 나온 설명이 비슷한데 용어가 달라서 궁금합니다.

등혈관이 대혈관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곤충의 순환계에서 '등혈관'은 '대혈관'과 동일한 구조를 지칭합니다. 곤충의 순환계는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공통적으로 등쪽에 위치한 긴 관형 구조인 대혈관을 갖습니다. 이 대혈관은 곤충의 심장 기능을 하며, 체액인 혈림프를 몸 전체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곤충의 대혈관(등혈관)은 몸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혈림프를 펌프질하여 이동시키고, 다양한 개방형 출구를 통해 혈림프가 조직으로 유입됩니다. 이렇게 혈림프가 조직으로 퍼져 나가면서 영양분을 전달하고 대사 산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수행합니다. 곤충의 순환계는 척추동물의 순환계와 다르게 혈관이 폐쇄형이 아닌 개방형이기 때문에, 혈림프가 혈관 밖의 체강 내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출처마다 조금씩 다르게 표기 및 설명하지만, 등혈관을 대혈관으로 봐도 무방합니다. 감사합니다.

  • 네, 곤충의 등혈관은 대혈관을 포함합니다. 곤충의 순환계는 개방순환계이며, 등쪽에 위치한 긴 관 모양의 등혈관이 심장과 대혈관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곤충의 등혈관은 대혈관과 동일한 구조입니다. 용어의 차이일 뿐, 곤충의 심장 역할을 하는 혈액을 순환시키는 주요 혈관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다만, 곤충의 개방순환계 특성상 포유류 등의 폐쇄순환계에서 볼 수 있는 대혈관과는 기능 및 구조적 차이가 있습니다.

  • 네, 곤충의 등혈관은 대혈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곤충의 순환계는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와는 상당히 다릅니다.

    가장 큰 특징이라면 곤충은 혈액이 혈관 안에서만 흐르는 폐쇄 순환계가 아니라, 혈액이 혈관 밖의 공간으로 직접 흘러나와 조직 세포 사이를 채우는 개방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곤충의 심장은 등쪽에 길게 뻗어 있는 관 모양의 등혈관입니다. 이 등혈관은 마치 펌프처럼 수축하여 혈액을 몸 전체로 순환시키는 것이죠. 또 곤충의 혈액은 산소 운반을 주된 기능으로 하지 않고, 영양분 운반, 노폐물 배출, 항체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결국 등혈관에서 나온 혈액은 몸 전체의 공간을 채우고, 다시 작은 구멍을 통해 등혈관으로 들어오는 방식으로 순환합니다.

    등혈관을 대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등혈관의 특징 때문입니다.

    곤충의 혈관 중 가장 크고 굵은 혈관이 바로 등혈관이죠. 그리고 혈액 순환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다른 혈관에 비해 중요도가 높고 앞서 말씀드렸지만, 마치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하여 혈액을 펌프질하고 몸 전체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결론적으로, 곤충의 등혈관은 크기, 역할, 기능 등 여러 측면에서 대혈관으로 볼 수 있지만 포유류의 혈관계와 비교했을 때, 곤충의 혈관계는 구조와 기능이 매우 다르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