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6

조선시대에는 수령의 권한은 어떠한 권한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 수령은 지금의 시장의 역할 이상인데요 조선시대에는 수령의 권한은 어떠한 권한이 있었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령은 군주의 분신으로 직접 백성을 다스리는 근민지관이라 해 항상 선임에 신중을 기하였습니다. 수령의 경관겸직과 임기 문제에 대해서 초기에는 논란이 많았으나, 『경국대전』이 확정되면서 수령의 임기는 5년으로 정해졌다고 합니다.

    조선의 수령제는 지방자치와 행정에 있어 수령의 자질에 의존하는 단점이 있었기 때문에 중앙정부에서는 지방에 수령을 파견할 때 신중을 기하여 보냈다고 합니다. 지방관을 기피하는 자는 처벌하도록 했고, 4품으로의 승진은 수령직을 이행한 이력을 강제했습니다. 또 지방관들은 관찰사, 대간 그리고 암행어사로부터 감찰 및 탄핵을 받아야 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수령은 변사또라 할 수 있습니다.


  • 무거운도라지볶음
    무거운도라지볶음24.01.16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수령은 지방군현에 배치되어 관할지역의 다양 한 행정,군정,사법, 치안등 사무를 관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수령은 왕의 대행하는 지방관으로 행정, 사법, 군사권을 총괄합니다. 그리고 수령은 '수령칠사'라고 하는 일곱 가지 업무를 담당하였습니다. 수령 7사는 농상성(농업과 양잠 장려), 호구증(인구 증가), 햑교흥(교육), 군정수(지방군의 훈련과 군기), 부역균(부역 부과), 사송간(소송, 재판), 간활식(향토세력 단속)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수령은 왕의 대행자로 군현의 행정과 조세, 사법권, 군사권까지 모두 장악했다고 합니닫. 경제와 산업 경영도 책임졌는데 수령은 관내 농경지가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경영 될 수 있도록 감독할 책임이 있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