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아열대 기후로 바뀌면서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의 기후가 아열대화되면서 농업 작물 재배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대책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는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이 지역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을까?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면서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이 짧아졌습니다. 폭염과 열대야 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강수량이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태풍과 같은 기상 재해의 강도가 세지고 발생 빈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아열대 식물의 북상과 새로운 해충의 출현 등 생태계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농업에도 영향을 미쳐 작물 재배 시기와 품종이 변화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아열대 기후로 바뀌면서 나타나는 현상은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봄과 가을이 짧아지고 여름은 길어지며 겨울도 비교적 짧아지고 있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이는 고온다습한 기후로 병해충이 늘어나고 가뭄고 폭우 및 폭염, 산불 등으로 아열대성 병해충 피해가 늘어납니다.
이로 인한 생태계 변화로 제주도에 있던 감귤 및 한라봉이 전남 및 경남 으로 북상하고 사고의 주산지도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바다에서도 오징어 및 고등어 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망고,바나나,오크라,천혜향 등 아열대 작물 재배가 남부 해안과 내륙 및 중부 일부 지역까지 확산됨에 따라
최근에는 하우스 재배 없이 노지 재배가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후는 지난 100년간 평균 기온이 크게 오르며 아열대 기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계절이 불분명해지고 여름이 길어지는 현상으로 나타나며, 이상 기상 현상도 잦아지고 있습니다. 농업 분야에서는 기존 작물 재배에 어려움을 겪는 대신 망고, 용과 등 아열대 작물 재배가 확산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 등에서는 난방비 절감 기술 개발과 함께 새로운 작물 육성 및 소비 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남부 지방이 먼저 아열대화되었고, 점차 서울 등 내륙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기후 변화는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적응과 대응을 요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