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네시삼십분
네시삼십분23.03.14

아이한자공부는 몇살부터하는게좋을까요?

아이한자공부는 몇살부터하는게좋을까요?

7세아이인데 한자공부는 언제부터가르치는게 좋을까요?

한글도아직못띠었은데 한자도가르쳐도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금은 한글 떼는 것을 우선순위에 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단지 한글의 70퍼센트 이상이 한자어이기에 가끔 한글 단어의 뜻을 풀이해서 설명해주면서 한자가 있다는 것만 알게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의 '학'은 '배울 학'이다. 또 '학'이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라고 얘기나누시면서 한글단어가 한자어로 이루어져있고 각각 뜻이 있다는 것을 알게하는 겁니다.

    어느정도 어휘력이 쌓이면 3~4학년 때 한자 학습을 시작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 전부터 마법천자문 등의 만화로 쉽게 한자를 접하게 하셔도 좋지만 본격적인 공부는 초등 중학년 때 시작하시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 생가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4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마법 천자* 책을 보면서

    한자를 금방 습득하더라고요.

    한자는 상형문자이기 때문에 한글보다 아이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관심을 보인다면 지금 한자를 시작해도 큰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자 공부를 시킬 땐 어느 정도 한글을 익힌 후에 한자 공부를 시키는 게 아이에게도 스트레스가 덜할 것 같습니다.

    요즈음엔 마법천자* 등 놀이 형식으로 한자를 익히는 경우가 많으니, 아이가 한글을 익히고 난 후에

    한자를 공부를 접근하기 보다는 놀이형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자는 7세에 공부시켜도 좋습니다. 단, 한글을 마스트 한 후에 알려주셔야 합니다.

    고로 한자와 영어는 한글을 먼저 마스트를 하고 난 후, 가르쳐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글을 떼지 못했는데 아이에게 한자를 알려주면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이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한자 역시도 말의 뜻과 의미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한글을 먼저 떼고 알려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글을 어느 정도 마스트 하고 난 후에 한자를 알려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영어와 한자 등 제2외국어교육은 모국어의 숙지가 어느정도 이루어 진 뒤에 하는 것이

    언어혼동이 적어 효과적입니다.

    포스터같은거 활용해서 미리 보고 접하도록 해주시고 한글을 어느정도 떼고나서 시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자를 가르치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물어봐도 될까요?

    한글을 아직 못 뗏으면

    한자는 눈으로 익혀준다고 생각하시고

    한자카드와 함께 일주일 5개정도씩해서 뜻과 음을 읽어주는것만해도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선긋는다 생각하시고 한자 한번씩 따라쓰기도 하다보면

    금방 익히더라구요?

    정확하게 해야한다. 정확하게 한다 생각하시고 한자교육을 하기보단!!!

    한자놀이라고 생각하시고 가볍게 접근해주면 좋을듯 합니다.

    그러면서 점차점차 아이가 한자에 눈을 뜰거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 한글을 모른다면

    한자까지 공부한다면 스트레스도 심하고

    오히려 햇갈려 할 수 있으니 너무 서두르지 마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마다 다르지만 보통 한자는 아이가 한글을 어느정도 깨우친 다음에 공부를 시키고는 합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것으로 아이와 이야길 해조시고 아이가 원한다면 시켜보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자는 최소한 한글을 대부분 깨우치고 더불어 형용사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언어까지는 깨우친 후에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초등3~4학년부터 시작하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