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영양제

검소한돼지249
검소한돼지249

철분제를 먹으면 치아가 누렇게 변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2
기저질환
복용중인 약

건강상의 이유로 철분제를 먹고 있는데 들리는 말에 철분제를 잘못먹으면 이가 누렇게 변한다고 하는데 정말인지요? 예방하려면 어떤 방법으로 먹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철분제를 정제또는 캡슐로 먹는다면 치아가 누렇게 착색되는 일은 없습니다.

      만약 가루형태로 드신다면 드시고 난후에 양치를 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철분제의 경우 액상 제품을 입안에 장기간 머금고 있으면 치아나 혀에 착색이 생길 수 있습니다.

      착색은 보통 검은색으로 진행되며 누런색으로 진행되진 않습니다.

      이경우 액상 제품 말고 알약 제품 드시고 충분한 물 드시면 크게 착색이 되진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단순히 알약으로 된 철분제는 상관이 없으나 음식물이나 음료 등의 형태로 드신다면 치아에 착색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제품에 따라서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제조사의 지침을 보셔야 합니다. 치아에 닿지 않게 드시면 대부분 착색은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액상철분제로 드시면 표면에 붙어서 착색되기 쉬워집니다. 캡슐로 바꿔서 처방해달라고 말슴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액상 철분제를 먹으면 누렇게될 수 있어요.

      캡슐로된 철분제를 드시면 치아착색 위험이 없어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액상캡슐을 드신다면 착색되므로 치아가 누렇게 됩니다. 캡슐이나 알약으로 드시면 그러한 부작용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철분제 정제를 복용할 경우 치아착색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철분제 액제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치아착색은 흔히 일어납니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착색의 기전은 액제 철분이 치아 표면 에나멜과 결합하여 점액성 또는 콜로이드성 필름을 형성한후 이곳에 플라그 및 다른 치아표면의 부스러기들이 모여서 치아의 색을 변하게 한다고 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철분액제가 철분 특유의 불쾌한 맛을 못느끼게 하려고 여러 맛을 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pH 2.0 이하의 ferrous sulfate형태의 산성(액제 성상이 산화철 색상인 갈색이죠?)이기때문에 더욱 철분 및 다른 플라그들이 잘 달라붙고 서식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착색은 약 복용후 바로 이빨을 닦아주게되면 충분히 예방가능하구요, 미국에서는 액제를 물이나 과일쥬스등에 희석하여 복용하는 것을 권하기도 합니다.
      (착색 정도가 철분의 농도에 비례한다는 실험결과가 있습니다. 농도를 묽게 해주어 철분과 치아의 접촉을 최대한 막게해주는 거지요.)

      http://www.joey.co.kr/child_old/file/info/view.html?section=column&page=4&number=24&ss=&sf=&st=&keyword=&PHPSESSID=cb458a26907e540ce4b94cd92b9ea867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타액에 이온화된 철분에의해 충치가 없음에도 검은색이나 갈색의 검은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철분 복용을 중단한다면 다시 돌아오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이러한 착색은 치아에 단단하게 붙어 있기에 칫솔질만으로는 제거가 어려우며 치과에서 폴리싱 혹은 스케일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으로 착색이 된다면 박테리아에 의한 치태가 형성된 착색이므로 병원진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