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편식이 심한 7세 손녀딸을 어떻게 훈육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편식이 심한 7세 손녀딸과 함께 살고 있는데요.

얘가 밥을 잘 안먹고 편식이 심합니다.

어떻게 하면 편식을 안하고 좋은 식습관을 가질 수 있게 훈육할 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은별 보육교사
      이은별 보육교사
      위센터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식사를 할때 식판을 사용해보는것도 좋습니다.

      식판에 담아서 정량으로 식사를 하게 한다면 이러한것이 점차 줄어들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편식을 하게 되었을때 부모들은 참 난감하시게 됩니다.이 경우에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먼저 부모님들의 식습관을 바꿔야 아이들도 바뀝니다. 한식탁에서 요리를 함께 먹기 때문에 부모님의 식성을 아이들이 많이 따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또한 아이들이 식사에 사용되는 야채(키우기쉬운야 채)를 키워서 먹게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직접 제배해서 먹을 수 있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는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요리 과정에 직접 참여해볼 수 있도록 하면 자기가 만든 음식이라는것 때문에 훨씬 더 잘 먹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편식을 한다면 편식이 왜 좋지 않은 습관인지에 대해서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편식을 하게 되므로써 우리 몸에 어떤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와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면 우리 몸에 어떠한 점이 좋은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아이가 먹지 않는 음식을 다양하게 요리를 해서 제공해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지거나 갈아서 재료의 형태나 조리법을 다양화 하거나

      아이와 함께 직접 요리를 해보는 것이 편식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요리를 직접 하면서 성취감과 재미를 느끼면 책임감을 갖고 음식을 먹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편식이 심한 아이들의 경우 식감이나 해당 재료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함이 가장 크다고 합니다. 이때 조리법을 달리 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조리법과 아이가 동참하는 요리과정으로 인해 아이한테

      거부감을 줄일수 있습니다.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대부분 편식하는 습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

      골고루 먹어야 키도 크고 건강해진다고 자주 이야기를 해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와 간단한 요리를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요리를 하게 되면 다양한 음식 재료들과 친해질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밥을 먹기 전에 간식을 되도록 먹지 않아야 합니다.

      간식을 밥을 먹고 난 후 먹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달달한 음식, 특히 과자나, 빵 밀가루, 탄산 등을 자주 먹다보면 상대적으로 건강식인 밥과 반찬을 멀리하게 되어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