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노랑이패널티33
노랑이패널티33

보험료가 과한지 아닌지 알수있는법

보험료로 나가는돈이 너무많은데요 보험관련정보가 없다보니 이게 맞는지 저게 맞는지 잘모르겠네요 보험료 관련해서 정확하게 알수있는법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 가입된 보험이 본인에게 적합한지, 가성비는 어떤지, 불필요한건 없는지, 소득대비 너무 과한지

    증권분석을 통해 알수 있습니다. 전문가와 상담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정확하게 아시는 부분은 스스로가 보험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다른곳에서 보험료 관련 정보가 맞는지 안맞는지

    구별 할 수가 있을겁니다.

    우선 보험료로 나가는 돈이 많다하셨는데 월 수입에 5~10%의 범위내에 보험료가 나가고 있으면 과도하게 잡힌 것은 아니라 보고

    그 이상이면 과도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 뒤에 보장에 대한 분석을 하고 필요부분을 선별하여 이상 잡힌 담보에 대해 감액이나 부족부분은 증가를 하여

    적정 보험료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리모델링 하는 겁니다.

    이모든것을 행하기 위해서는 내가 보험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좋은 설계사든, 좋은 보험사든 만나실 수 있는 겁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치환 보험전문가입니다.

    가입하신 보험의 다 확인해야 정확한 안내가 가능하세요

    내보험다나와등 사이트를 이용해서 확인을 하시거나

    설계사를 통해서 확인하시는 방법이 있으세요

    다 확인한후에

    유지에 부담이 없으신 보험료를 기준으로 해서

    질문자님의 경제적상황에 맞게 유지에 부담이 없으신 보험료를 기준으로

    보장이 우선순위를 정해놓고 진단비와수술비등을 구성하시면됩니다

    *자세한 안내는 프로필을 확인하셔서 문의 주세요

  • 안녕하세요. 윤철기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 관련해서 정확하게 알수있는법은 간단하게 설명드려서 가입하신 보험 보장내용을 보험사 고객센터에 문의하셔서 받으시고

    가입한보장내용이 어떤 상품인지 알기위해서 네이버 검색이나 유튜브를 참조하셔서 보험공부를 하시면

    내가가입한 보험이 나한테 맞게 보험료가 책정되어 있는지 알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험료는 월평균 수입의 10%~13% 선으로 잡으시면 됩니다.

    월평균소득의 13%를 넘어가게되면 의심을해봐야합니다. 불필요한 보장이없는지~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분석을 한번 받으시어 내가 어떤보험에 어떤특약이 있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보장분석을 받으시는 건 무료고 진단도 무료로 합니다.

    보장분석을 받으시고 나에게 불필요한 보험이 있다면 정리를 하시어 전체 월납 보험료를

    줄이시는 방법이 제일 좋습니다.

    도움이 되셧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최범석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 관련해서 질문 남겨주셨네요!

    한국 FPSB 협회에서 권장하는 월보험료는 내 월 수입의 8~12%입니다. ( 한 가정의 수입의 8~12% 라고 보시면됩니다)

    만약 개인만 생각하시는 경우라면 5~10%로 책정할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건 현재 유지중이신 상품이 정말 이 돈을 낼 가치가 있는지 점검을 통해 알아보실수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해지는 추후에 다가올 위험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수 있기에 자세한 사항은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됬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사항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어느 정도의 보험료가 적당한지는 = 본인이 부담스럽지 않는 월 보험료 입니다.
    남들 10만원, 20만원 가입을 한다고해서 똑같이 10만원, 20만원 보험료를 납부할 이유가 없습니다.
    평균적으로 7~10만원이 가장 많다고해서, 본인도 7~10만원에 반드시 맞춰야 하는건 아닙니다.
    사람마다 재정적인 부분, 처해진 상황, 가족력, 가치관 등이 전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같은 10만원의 보험료를 납부하더라도
    10만원 값어치에 맞게끔 가입을 했는지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 부분은 가입한 증권을 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 비교사이트를 이용해보시고 평균적으로 월소득의 7~10퍼센트정도를 보험료로 쓰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을 떠나서 자기 소득 대비 지출비용이 과다한지 보면됩니다.

    위에 해당사항이 없다면

    보장분석 등을 거치셔서 불필요한 특약 등 가감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상세 문의 등은 프로필 확인하여 문의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보험료의 경우 보장 내역과 보장 금액 등에 따라 상당히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과다 보험료 납입인지 명확이 알 수는 없으나 가입하신 보험 상품 내역과 소득 수준등을 감안하여 믿을 만한 설계사분들에게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반갑습니다.

    프라임에셋, 프리미엄 본부 소속 보험전문가

    잎새노랑으로 활동하는 '김민형 팀장' 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조금 귀찮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은 토스로 본인명의의 모든 보험를 조회하는 것입니다.

    저도 고객분들께 추천드리는 방법이지요.

    * 보험사들과 보험 상품들이 쭉 나오는데, 해당 보험들의 특약 구성 등을 확인해보고

    쓸데없는 것들이 있으면 정리하고, 쓸데있다면 유지를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보험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유튜브에 '잎새노랑 보험' 검색하시거나

    네이버 블로그 '잎새노랑 보험',

    제 프로필에 '오픈카톡 링크'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월 납부 가능한 보험료가 얼마인지 고민해봐야 합니다. 해지환급금을 가지고 굉장히 좋은 상품인것처럼 현혹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보험은 단어 뜻 그대로 각종 사고로 인한 경제적 손해를 대비하여 적립해 두는 돈입니다. 쉽게 말하면 저축 상품이 아닌 위험을 보장하는 대신 없어지는 돈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월 보험료는 보장성보험의 경우 4인가족 기준 세후 총수입의 10%전후가 적당합니다. 연금 등 저축성 보험은 5% 정도고요. (싱글일 경우 보장성 보험 5%, 연금 및 저축 5%)

    그리고 가용한 납입여력을 가지고 보장을 순서대로 가입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가 과한지 아닌지 알수있는법

    => 보험설계사나 대리점을 방문하면 가입되어 있는 보험들이 과한지 보장이 중복되어 있는지 또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개인정보 동의만 하게 되면 가입되어 있는 보험을 다 볼수가 있습니다.

    보험료는 자신의 소득에 10% 내외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보장 크기는 보험 가입 나이에 따라 같은 금액이라도 많이 다를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젊을때 건강할때 빨리 가입하라고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