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 중에서 복지 선진국 순위 TOP5는 꼽는다면?
2025년 기준으로 현재 OECD 가입국은 38개국입니다.
이 국가 중에서 복지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나라와 그 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OECD 국가 중에서 복지선진국 순위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공공사회복지 지출, 빈곤율, 장애 지원, 연금 자산, 삶의 질(행복지수) 등을 종합한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위 프랑스
2위 덴마크
3위 스웨덴
4위 노르웨이
5위 독일 순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세계복지선진국은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로 전 국민을 위한 포괄적 복지제도와 높은 복지에선
비중이 특징 입니다.
그리고 캐나다, 호주 등도 복지 중심 비중이 높습니다.
이들 국가는 복지 확대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동열 사회복지사입니다.
복지수요도, 복지충족도, 국민행복도 등 여러가지 지표가 있어서 딱 정하기는 어렵지만..
종합복지지수로 말씀드리자면..
1위 : 노르웨이
2위 : 룩셈부르크
3위 : 네덜란드
4위 : 덴마크
5위 : 스웨덴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세계복지선진국은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네덜란드, 스위스, 캐나다, 독일, 프랑스, 호주 순입니다. 스웨덴은 무상의료, 부모휴가, 연금, 아동수당 전방위 지원이며, 노르웨이는 석유기금 활용한 국민 연금, 무상 교육 및 의료입니다. 그리고 덴마크는 높은 세금 기반의 전면적 사회보장 시스템이며, 핀란드는 세계 최고 교육복지, 기본소득 실험 국가, 네덜란드는 선진 의료체계, 유연한 육아지원, 스위스는 고품질 의료, 연금제도 강력, 선택적 의료보험제이며, 캐나다는 유급육아휴직, 무상의료, 복합형 실업보험, 독일은 강력한 실업, 노인 , 장애인 복지제도가 있으며 프랑스는 가족수당, 보육지원, 장기 실업자 지원 등이며, 호주는 메디케어 의료 시스템, 실업수당, 아동수당 등이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OECD 가입국가 중 복지국가 순위를 정하는 것은 삶의 질, 건강, 교육 접근성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하게 됩니다. 복지국가 순위를 정하는 기준은 인간개발지수(HDI), 공공 사회복지 지출비율, 행복지수 및 삶의 만족도, 복지서비스(의료, 교육, 실업급여, 아동수당, 노인복지 등)의 포괄성 및 접근성, 빈곤율 및 소득 불평등지표 등으로 복지국가 순위의 차이는 있습니다.
OECD 인간개발지수(HDI)를 기준으로 복지선진국의 순위는 1위 스위스, 2위 노르웨이, 3위, 아이슬란드, 4위 홍콩, 5위 호주, 6위 덴마크, 7위 스웨덴, 8위 아일랜드, 9위 독일, 10위 네델란드입니다.
또한, 2025년 기준으로 장애인 복지 순위는 1위 스웨덴, 2위 노르웨이, 3위 핀란드, 4위 캐나다, 5위 영국으로 장애인의 자율성과 디지털화를 기반으로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 통합지원으로 공공의 책임감을 가지고 삶을 향상시키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배격에 맞춰 추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