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구리의 화학반응 질문!!!!!
화학반응에서 계수비=분자수비 인데 산화구리반응은 왜 2:1이 아닌 1:1인지 모르겠어요.. 2Cu+O2=2Cuo니까 2:1이어야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산화구리 반응에 대한 질문자님의 이해는 반응의 원자 보존 법칙에 근거한 적절한 분석을 반영합니다. 반응식에서 구리(Cu)와 산소(O₂) 사이의 계수 비율을 보면, 각 반응물의 원자 수를 정확히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산화구리(CuO)를 형성하는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
2Cu + O₂ → 2CuO
이 반응식에서 구리 2개의 원자와 산소 2개 원자(산소 분자는 O₂로서 2개의 원자로 구성됨)가 반응하여 산화구리 2개 분자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이 반응에서 구리와 산소의 원자는 1:1의 비율로 반응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구리 2개 원자가 산소 분자 1개와 반응하는 2:1의 계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맞습니다. 반응식에서 2:2로 표현된 것은 각 원소의 원자 수를 일치시키기 위한 표현 방법입니다.
그러나 각각의 원자 또는 분자의 계수를 단순화하여 다른 비율로 표현할 때는 계수 비가 반드시 분자 수 비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응식을 간소화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Cu + 1/2 O₂ → CuO
이 경우, 계수 비는 구리 1개의 원자와 산소 분자의 절반(즉, 산소 1개의 원자)이 반응하는 1:1 비율로 보이게 됩니다. 이는 화학 반응식에서 원자 수 보존의 원칙을 유지하면서도 반응의 실제 비율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한 방법입니다.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2Cu + O₂ → 2CuO는 원자 개수의 보존을 나타내요. 이 식에서 실제로 분자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면, 산소 분자(O₂)는 두 개의 구리 원자와 반응하여 두 개의 산화 구리(CuO)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2:1 분자적으로 1:1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