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별초항쟁은 어떠한 이유 때문에 일어난 사건인가요?
삼별초항쟁은 민중항쟁으로 알고 있는데요.
삼별초항쟁은 어떠한 이유 때문에 일어난 사건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별초는 봉기하기 전 고려 조정의 휘하였고, 원래 삼별초는 최씨 무신정권의 사병 집단이 되었고 군부독재를 유지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몽골이 고려를 침략하자 최씨 무신정권은 1232년 강화도로 천도하고 몽골의 침략에 맞섰으나 기반이 허약한 고려는 잦은 반란에 직면합니다.
반란 중 일부는 평정되나 북부 지역의 반란 무리는 몽골로 이탈, 그 영토는 몽골 제국에 합병됩니다. 최씨 무신정권이 붕괴하고 고려 원종과 권종에 기생한 일단의 문신을 비롯한 신료들은 몽골 제국에 항복, 무신정권에게서 정치권력을 빼앗은 원종은 결국 1270년 삼별초를 해산하라는 명을 내리게 됩니다.
그러나 배중손이 이끄는 강화도의 삼별초는 몽골 제국 및 몽골에 예속된 고려 원종의 조정에 반기를 들고 봉기하게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별초의 항쟁(1270년-1273년)은 고려-몽고 전쟁이 끝나고서 삼별초가 원나라 및 고려조정에 대한 반란의 성격을 강조하는 시각에서는 삼별초의 난이라고 부르고 원나라에 대항한 것을 강조할 때는 삼별초의 대몽항쟁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강화도에서 개경환도에 반대하여 반기를 들었습니다. 배중손이 이끌었던 삼별초는 원종의 아우 승화후 온을 황제로 옹립하고 진도를 거점으로 옮겨 남부를 지배하며 항몽전을 벌이게 됩니다. 그러나 조정의 진압군과 몽골 진압군에게 진도가 함락(1271년)되자 김통정을 중심으로 한 일부세력이 제주도로 옮겨 저항하다가 1273년(원종 14년)에 모두 평정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조정은 1270년 몽골에 항복하고 개경 환도를 결정합니다. 또한 6월에 삼별초 해산령에 불복하여 개경환도에 거부하면서 여몽연합군에 맞서 3년간에 걸쳐 항쟁합니다. 이를 삼별초의 항쟁(1270-1273)이라 합니다.
1270년 무인정권이 종식되고 원종은 몽골의 지시에 따라 개경 환도를 단행합니다. 그러나 개경 환도를 하면 몽골군의 보복이 당연시 되기 때문에 장군 배중손이 삼별초를 규합하여 원종을 폐하고 승화후 온을 국왕으로 옹립하고 항쟁을 선포하였습니다. 삼별초는 강화도에서 진도, 그리고 제주도를 거점으로 옮기면서 항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