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이 성숙하면서 녹색에서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래 과일이 있기 전에는 초록색을 나타내는데 과일이 성숙하면서 녹색에서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과일이 익으면서 엽록소가 분해되고 대신 카로티노이드, 안토시아닌 등 색소가 합성 및 축적돼 색이 변한답니다.
이 변화는 씨앗 성숙이나 동물에게는 시각적 유인 등을 돕는 역할을 하죠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원래 익지 않은 상태에서의 과일은 초록색을 나타내지만 과일이 성숙하면서 색깔이 녹색에서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광합성과 관련된 색소의 변화와 성숙 과정에서의 호르몬 작용 때문입니다. 아직 미성숙한 과일은 잎과 마찬가지로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해 엽록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요, 엽록소는 녹색 파장의 빛을 잘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일은 이 시기에 초록색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과일이 점차 성숙해지면 더 이상 광합성을 주된 기능으로 하지 않고, 동물이나 곤충에 의해 씨앗이 퍼질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색을 갖게 됩니다.
성숙 과정에서는 에틸렌이라는 식물 호르몬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에틸렌은 엽록소의 분해를 촉진하고 동시에 노란색이나 주황색을 나타내게 하는 카로티노이드나 붉은 색을 나타내는 안토시아닌과 같은 다른 색소의 합성을 유도하는데 이 과정에서 녹색은 사라지고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으로 과일이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과일이 성숙하면서 녹색에서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단풍이 드는 원리와 비슷합니다.
즉, 엽록소가 사라지고 다른 색소들이 드러나거나 새롭게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덜 익은 과일은 광합성을 위해 엽록소를 많이 가지고 있어 대부분 녹색을 띱니다. 하지만 과일이 익기 시작하면 효소에 의해 이 엽록소가 분해되고, 엽록소가 사라지면서 그동안 숨겨져 있던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나타나 노란색이나 주황색을 띠게 됩니다. 또한 동시에, 많은 과일은 익는 과정에서 안토시아닌이라는 붉은색 또는 보라색 색소를 새롭게 합성합니다.
이렇게 색깔이 변하는 것은 식물이 씨앗을 퍼뜨리기 위해 동물들을 유혹하는 신호인 것이죠.
과일이 성숙하면서 녹색을 띠게 하는 엽록소가 분해되고, 기존에 엽록소에 가려져 보이지 않던 노란색이나 주황색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가 드러나거나 붉은색 계열의 안토시아닌 색소가 새로 합성되기 때문에 색이 변하게 됩니다. 미성숙 단계에서는 엽록소를 이용해 광합성을 하여 성장에 필요한 양분을 만들지만, 숙성 단계에 이르면 에틸렌과 같은 식물 호르몬의 작용으로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원래 존재하던 다른 색소가 나타나거나 새로운 색소가 만들어져 동물이 쉽게 발견하고 씨앗을 퍼뜨리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