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알면서 나쁜 행동을 하는 시기는 보통 언제인가요?
저학년 시기에는 보통 모르고, 충동적인 마음에 나쁜 행동을 실수로 할 수도 있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 알면서도 나쁜 행동을 하는 나이는 언제로 보는건가요? 판단이 가능한 나이 기준이요!
초등학교 저학년은 옳고 그름을 알지 못하고 행동할 때가 대부분입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이론에 따르면 청소년기에서부터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규범이나 법적 책임을 인지하고, 자신의 행동이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나이는 만 14세 이상으로 간주됩니다. 물론 개인의 발달 속도나 환경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법적으로는 이 시점을 기준으로 책임 능력이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교육적 접근과 형벌의 균형을 고려한 정책적 판단이며, 이후에는 잘못된 행동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나이로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이 알면서 나쁜 행동을 하는 시기는
아이가 아이가 어느 정도의 규칙과 질서. 인성에 대한 부분을 인지하기 시작 할 때 부터 입니다.
그 시기는 보통 만 6~7세 전후 부터 입니다.
이 시기 부터 아이는 자신의 행동이 나쁜지 인지하고 스스로 조절하려는 능력이 발달하기 시작 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인지할 수 있는 시점에 맞춰 차분하고 단호하게 지도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또한, 아이의 발달 단계와 개별 차이를 고려해, 나쁜 행동을 알면서도 반복할 때는 충분한 설명과 함께 올바른
행동을 안내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만 9-10세부터는 행동의 옮고 그름을 인지하고 판단할 능력이 생긴다고 봅니다. 이 시기에는 규칙과 결과의 관계를 이해하며 '이건 나쁘지만 해보고 싶다'는 의도적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여전히 충동 조절 능력은 미숙하기 때문에 완전히 책임있는 판단이라기보단 학습중인 단계로 보는게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도덕적 판단력은 초등학교 3~4학년 무렵부터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부터 이 행동이 옳다 그르다를 인식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초적 판단 능력이 생깁니다.
다만 완전한 자기조절은 중학교 시기부터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통 초등학교 중학년에서 고학년 시기부터는 알아도 습관이 되어서, 혹은 반항심이나 일종의 기싸움 등을 이유로 나쁜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물론 시기적으로 아이들마다 차이도 있고, 아이 저마다의 성향에 따라서도 차이는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