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침착한게142
침착한게142

irp계좌는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비율이있나요

솔미당 irp계좌로 모아가려고 하는데 일저 금액 이상 안사져서 보니 위험자산 비율이 높다고 하네요 ㅜㅜ 그럼 안전자산을 사야하나요 어떤종목사야할지 모르겠어요 채권위주로 사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 비율 제한으로 IRP는 걸려있습니다.

    안전자산으로 인정되는 종목으로는 채권형 펀드, 예금, 채권혼합ETF 등이 안전자산입니다.

    예금을 더 추가하시면 인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IRP 계좌에는 위험자산(주식형 펀드)과 안전자산(채권형, 예금형)이 있습니다. 위험자산 한도 초과로 매수가 안되는 경우 채권이나 MMF 등 안전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보완하면 됩니다. 리밸런싱 시 자동 조정 기능도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퇴직연금 계좌에서는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비율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 그대로 IRP 계좌는 연금계좌이기 때문에

    계좌 내의 모든 돈을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없게 만든 것으로

    위험자산 70퍼센트, 안전자산 30퍼센트의 비율로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계좌는 위험자산 비율이 일반적으로 70%로 제한되며, 안전자산을 30% 이상 담아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IRP 계좌는 전체 자산의 최소 30% 이상을 안전자산으로 구성해야 하며, 안전자산은 주로 채권형 ETF, 채권혼합형 ETF(주식 비중 50% 이하), 머니마켓형 ETF 등이 포함됩니다. 대표적으로 국고채, 회사채, 단기 채권 ETF가 안정적이며 변동성이 낮고 원금 손실 위험이 적습니다. 이를 통해 위험 분산과 안정적 수익 추구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irp계좌에서는 강제로 30%의 안전자산을

    구성해야 하며 보통 채권 etf 또는

    주식채권혼합형 etf로 투자하니

    참고하시길 바라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