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소량 화물 수출 시 포장과 적재 방법, 어떻게 해야 할까요?

80개 정도 되는 작은 박스로 제품을 수출하려고 하는데, 포장이랑 적재 방법이 좀 헷갈리네요. 파레트 포장은 안 되어 있는데, 이걸 포워더 차량에 그냥 실어도 되는 건지, 아니면 나중에 포워더 창고에서 파레트 작업을 해주는 건지 궁금해요. 그리고 실제 적재는 누가 하는 건지도 알고 싶은데, 이런 경우 보통 어떻게 진행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소량 화물을 수출할 때, 제품의 안전한 운송과 효율적인 적재를 위해 적절한 포장과 적재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80개의 작은 박스가 파레트 포장이 되어 있지 않다면, 포워더 차량에 직접 적재하는 것보다는 파레트 작업을 통해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일반적으로 포워더의 창고(CFS)에서 진행되며, 작업 가능 여부와 비용은 포워더나 콘솔사에 문의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워더 창고에서 파레트 작업을 진행할 경우, 수출자가 직접 팔레트를 제공하거나, 창고에서 제공하는 팔레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팔레트 작업 시,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래핑 작업이 함께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작업은 화물의 특성에 따라 필요 여부가 결정되므로, 사전에 포워더와 협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재 작업은 일반적으로 포워더의 창고에서 전문 인력이 수행하며, 수출자는 포워더와의 협의를 통해 작업 일정을 조율할 수 있습니다. 포워더는 수출자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포장 및 적재 방법을 제안하고, 안전한 운송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마련합니다. 따라서, 수출 전에 포워더와 상세한 논의를 통해 포장 및 적재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작은 박스를 개별 포장 상태로 수출할 경우, 파레트 작업이 되어 있지 않다면 포워더 측에서 이를 보완해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포워더 창고에 도착한 뒤 파레트 작업을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미리 포워더와 협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출자가 직접 파레트 작업을 마쳐서 화물을 넘기는 경우보다 포워더 측에서 작업을 진행할 때 시간과 비용 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조건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재는 보통 포워더의 창고나 선적 과정에서 전문 작업자가 담당합니다. 수출자가 화물을 포워더에게 넘긴 시점부터는 포워더가 운송 및 적재를 책임지며, 차량에 실을 때도 적재 안정성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을 따릅니다. 따라서 포워더와 사전에 작업 방식과 관련한 세부 사항을 확인하고 필요 시 포장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러한 적재작업은 화주측에서 할때도 있으며, 포워더가 진행할때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화주(수출자)께서 제품을 파레트에 적재하고 랩핑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운송 중 제품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만약 화주 측에서 파레트 작업이 어려운 경우, 포워더의 창고(CFS)에서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포워더와 협의하여 작업 가능 여부와 비용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