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하이닉스의 주가는 엄청올랐는데 삼성전자는 왜 이모양이죠?

하이닉스의 주가는 그동안 많이 올랐는데

삼성전자는 아직도 5만전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이렇게까지 망가진 이유가 뭐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공지능 시대에 중요한 메모리 반도체로 여겨지는 HBM 시장에서 하이닉스는 앞서가는 반면 삼성전자는 뒤쳐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DRAM 시장에서는 중국의 후발 업체들이 빠른 속도로 기술력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곧 삼성전자는 고성능 반도체에서는 하이닉스에게 경쟁력이 밀리고 있고 범용 DRAM 시장에서는 중국 업체들에 쫒기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외에도 파운드리 사업에서도 대만의 TSMC와의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HBM에 대한 기술이 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납품할 정도로 올라왔지만

      삼성전자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현재는 D렘의 수요 보다 AI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크게 올라왔기 때문에 SK하이닉스의

      주가가 더 상승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보급형은 중국에게 밀리고 파운드리는 결함(기술적)등으로 대만에 밀리고 있다고 합니다

    결국은 일본의 소니꼴 난건지, hbm을 거절했다는 얘기도 있네요

    우리나라 사람들도 등돌리고 미국으로 떠난 부분도 있죠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가 주가가 안간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말씀드리겟습니다.

    첫번째 하이닉스와 다르게 HBM 고대역메모리에서 비중이 낮아지고 있고 이부분에서 전혀 기대감도 다 꺾이고 극히 저사양제품에서 판매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HBM의 12단이상은 하이닉스가 독점하다고 시피하고 있고 영업이익률이 50%가 넘을정도로 고마진 상품입니다. 삼성전자는 발열이슈를 해결을 못하며 이번에도 차세대 블랙웰이나 12단이상은 수주를 못하고 여전히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

    두번째는 범용메모리에서도 5세대로 양산화에 실패하며 이부분에서도 하이닉스와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즉 이는 삼성은 1a공정에서 양산화를 진행하고 있고 5세대의 1b공정인 메모리 설계에서 문제가 생기며 발열문제가 있다고 하며 이때문에 HBM에서도 이 5세대 메모리를 쌓는 방식인데 이게 안되면서 문제가 되고 있는 총체적 난국인상황입니다.

    마지막으로 엔트리급의 일반적인 메모리에서도 중국내에서 창신메모리가 떠오르면서 이들에게 판매비중을 일부빼앗기며 작년의 우려가 발생하였습니다. 거기다 2020년 기대감을 갖고 시작한 파운드리에서 작년의 큰 적자와 올해에서도 TSMC와 격차가 벌어지고 있고 미국의 오스틴공장에서도 미국의 빅테크와 사업수주가 안되면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하락을 불러일으킨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하이닉스는 기술 경쟁력을 갖춰서 주가가 상승한 것이고, 삼성전자는 대내외 정치, 기술 경쟁력 등 문제 때문에 상승하지 못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과 하이닉스가 상황이 바뀌게 된것은 HBM(고대역폭 메모리)의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최근 AI기술이 각광을 받으면서 이를 구현하는 HBM의 수요가 폭발했었는데요.

    이 부분에선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나 다른 글로벌 기업들 보다 앞서 시장 선점을 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SK하이닉스는 역대 최고의 실적을 달성하며 삼성전자와 상황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SK 하이닉스 주가는 올랐는데 삼성전자는 그렇지 못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이 두 기업 간의 차이는 기술력에 있습니다.

    기술력이 있는 SK 하이닉스는 앞으로도 기대가 되는 기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