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2.17

소아비만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어린아이가 뚱뚱하며 살이 많이 찌면 소아비만이라고 다들 얘기하잖아요 여기서 말하는 소아 비만의 기준으로 어느 정도가 소아 비만의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 기준은 신장별 어린이 표준 체중을 기준으로 했을때 20%를 넘는 경우 입니다.

    또 다른 방법 중 하나는 비만도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기준으로 보았을 때 20-30% 미만은 경도 비만, 30-50% 밍산은 중등도 비만, 50% 이상은 고도비만에 속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은 소아에게 가장 흔한 영양 장애로서 매년 그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체질량 지수가 성별과 나이를 기준으로 85~94.9백분위수는 과체중, 95백분위수 이상 또는 25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7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의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하군요.
    체질량지수가 성별과 나이를 기준으로 85~94.
    9백분위수는 과체중, 95백분위수 이상 또는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소아비만을 위한 식이요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아는 계속 성장을 하는 시기이므로 충분한 영양 공급이 필요합니다. 대신 과잉 섭취하고 있는 잘못된 식사량을 조절하고 식습관을 고치는게 중요합니다. 이것은 반드시 가족 모두가 참여해서 도와줘야 합니다.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은 충분히 섭취할 수 있게 하고 탄수화물, 지방은 제한을 합니다.

    식사는 20분 이상에 걸쳐 천천히 먹도록 하고 아침을 꼭 먹고 자기 전에는 과식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최근엔 소아청소년도 뇌 특정 부위에 작용해 포만감을 높여 식욕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비만치료제로 적극적 관리가 가능해졌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 체중 조절이 어려운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에서 체중 감량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의 경우 성인의 계산법과 달리 표준체중에서 20%를 넘어서면 비만으로

    보곤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몸무게가 표준체중의표준편차95이상이면 일반적으로소아비만으로본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 기준은 신장별 어린이 표준 체중을 기준으로 했을 때 20% 넘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남자 아이 기준으로 살피면 만8세 나이 기준으로 129cm 몸무게 27.5kg이 표준 입니다. 여기에 20% 초과하면 소아 비만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연령과 성별에 따른 기준치를 기준으로 25 이상 또는 95% 이상이

    해당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은 의학적으로 보통 유아기에서 사춘기까지의 연령대에서 체중이 키별 체중보다 20%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체질량지수가 85~95백분위수 이면 과체중이며,

    95 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진단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소아 비만의 기준은

    85~94.9백분위수는 과체중이며,

    95백분위수 이상 또는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한다고 하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나이대별로 평균 체중이 있고 평균 체중을 넘어서는

    경우 소아비만이라고 합니다. 적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아이 소아비만을 예방하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