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

캐리트레이드라는 경제용어는 어떤걸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경제관련 기사를 읽다 보닌깐 캐리트레이드라는 경제용어가 나오더라구요. 이 캐리트레이드라는 것은 정확하게 어떤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캐리트레이드라는 것은 금리가 낮은 국가의 통화로 자금을 조달해서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국가의 금융상품에 투자를 하여 수익을 얻는 투자방식을 말하는 것으로서 캐리트에리드 투자와 관련한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아요.

    • A국가의 금리 2%

    • B국가의 금리 8%

    • A국가의 통화로 3%대로 자금으로 조달하여 B국가의 금융상품 10% 가입

    • 만기 도래시 B국가의 상품을 통해서 수익을 거두고 이 재원으로 A국가에서 조달한 자금 상환

  • 안녕하세요.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나라의 돈으로 자금을 조달해서 다른 나라 채권이나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걸 말합니다. 가장 흔이 얘기되는게 엔캐리트레이드입니다.

    아시다시피 엔화가 국제적으로 싸니까 엔화로 자금을 많이 조달합니다. 그래서 엔화가 국적인 자금줄이라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나라에서 그 나라 돈을 빌려, 금리가 높은 나라의 채권이나 예금 등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낮은 금리로 빌려서 고금리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어렵지 않게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회로 여겨졌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저금리로 조달된 자금으로 외국 자산에 투자하는 거래를 뜻한다. 별도 수식이 없으면 통화 캐리 트레이드로 간주. 이자가 싼 국가에 본점을 두고있는 금융기관에다가 돈을 빌려서 이자가 비싼 국가에 본점을 두고있는 금융기관에다가 자금을 예치하여 차익거래를 하거나 수익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의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다. 일본 엔화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은행이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붕괴로 인한 경기침체를 해소하기 위해 금리를 제로까지 떨어뜨렸다. 그러나 일본의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침체 되었고, 주식도 아시아 외환위기, IT버블, 2000년대 중국 호황을 거치면서 급등락을 반복했지만, 높아봐야 고점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당시 일본에서는 자국 주식과 부동산은 한물갔다는 인식이 뿌리박히게 되었다. 그래서 이 당시 투자 좀 한다는 일본인 사이에서 일본의 시중은행에서 거의 제로에 가까운 금리로 돈을 마구 빌린 다음에 해외 주식과 부동산, 채권을 사들여서 차익을 보는 방식의 투자방식이 유행했다, 이로 인해 일본 엔화 가치가 급락하면서(일본인 입장에서 환차익까지 덤으로 얻음) 2000년대 초중반 일본 경제가 잠시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해 다른 국가들의 금리도 내려가고, 안전자산으로 취급받는 엔화에 대한 선호가 늘어나면서 엔화 가치가 급등하자, 캐리 트레이드로 풀려나간 자금이 다시 일본으로 돌아오면서 엔화 가치가 더더욱 급등하고 캐리트레이드가 청산되는 등 급격한 위험에 노출되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는 일본에 이어서 미국마저 연방준비제도가 경기부양을 위해 제로금리까지 금리를 떨어뜨리고, 양적완화를 공격적으로 시행하면서 미국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자 미국 달러를 가지고 하는 달러 캐리트레이드가 성행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엔 캐리 트레이드보다 미국의 달러 캐리트레이드는 더욱 거대한 자금의 홍수 역할을 해서(...) 대한민국이나 중국 등 신흥국의 주가를 급격히 끌어올리는 데에 아주 큰 역할을 했다.

  •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국가에서 돈을 차용해 높은 수익률이 예상되는 다른 나라의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것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캐리트레이드는 금융 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높은 이자율을 가진 통화를 매입하고 낮은 이자율을 가진 통화를 매도하여 이자 차익을 얻는 거래 전략을 말합니다

  • 캐리트레이드란 금리가 낮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해 금리가 높은 나라의 금융상품 등에 투자함으로써 수익을 내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캐리트레이드는 1990년대 말에, 아시아 증시에 일어난 캐리 트레이드입니다

  • 보통 엔 캐리 트레이드가 유명한데 일본이 장기 저성장을 거치면서 금리도 거의 마이너스 금리나 제로금리 수준이었습니다.

    이때 일본의 저렴한 대출 이자를 적용해서 일본에서 자금을 빌리고 성장성이 높고 이자도 높은 미국으로 가서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익을 내서 일본에 가서 대출을 갚습니다. 그렇게 되면 큰 비용도 안 들고 자본도 많이 필요하지 않고 수익을 내는 것입니다.

  • 질문하신 캐리드레이드라는 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캐리트레이드란 저금리로 조달된 자본으로 외국 자산에 투자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엔 캐리 트레이드가 있었습니다.

    마이너스 금리인 엔화를 조달해서 또 다른 자산에 투자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 금리차이를 통하여 금리가 싼 나라에 돈을 차입하여 금리가 높은 나라의 채권에 투자하여 금리 차익을

      얻는 개념의 투자방법입니다.

    • 주로 엔캐리트레이드 자금으로 미국에 투자하여 재미를 본 일본인이 많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