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당찬낙타288
당찬낙타288

앞으로 신규 아파트분양에 계속투자 해도 괜찮을까요?

저는 50대인데요 다른 투자를 해보지 않았는데 1~2년사이 분양아파트에 투자를 했다가 좀 이윤을 남겨서 재미를 봤는데 부동산 정책에 이제는 투자를 하지말라는 주위 권유로 못하고 있습니다.앞으로 아파트투자 위험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파편화 된 인성
      파편화 된 인성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은 막연한 카더라 통신이 아니라.. 현물 자산 가치와 연동되는 정부 정책을 이해 해야 합니다.

      첫째 왜 부동산 가격은 상승 할까요?

      부동산 가격은 인플레이션(통화 정책)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불경기를 예상한 정부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풀면 시중에 넘쳐나는 통화량에 의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할것을 예상한 부자들의 돈이 현물 자산인 부동산으로 몰리기 때문입니다. 일부 부동산 하락론자들이 인구 감소에 의해 부동산 가치가 하락할것이라고 줄기차게 예언을 했지만 전혀 맞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인구가 감소하면 대도시로 사람이 몰리기 때문인데 그 이유는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밝힌 분업과 생산의 효율성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인구가 감소하면 부동산이 하락하는 것은 사람들이 모일 수 없는 위치와 지역에 한정해서 일겁니다.

      둘째 왜 부동산 가격은 떨어질까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부동산 가격이 떨어졌을때는 대부분 대출을 규제하는 정책이 강화 되었을때입니다. 그래서 현재 대출 규제에 해당하는 물건이 집중된 강남 집값이 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대출 규제에 해당 하지 않는 지역의 아파트는 오히려 올라가는 풍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결론

      부동산 가격은 정체되거나 일시 하락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꾸준하게 상승 하는 구조일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첫번째 이유로 설명드린 인플레이션때문입니다. 우리나라가 산업화 된 이후 가치의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10년 전에 비교하여 오르지 않은 땅값이나 아파트는 존재 하지 않습니다. 만약 당신이 돈을 많이 가지고 있는 부자라고 생각해 볼 때 해마다 2%의 인플레이션이 발생 한다고 하면 10년뒤 20%의 화폐 가치가 하락 할텐데 현금을 들고 10년을 보관하는 경우와 부동산에 투자하여 보관 하는 경우 어떤 선택을 할것인가요?

      많은 부자들은 학습의 결과로 현금 보유보다 땅이나 아파트에 투자 하는 것이 훨씬 이익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부동산의 투자 원칙 중 하나는 내가 사는 곳은 내가 편한 위치와 지역에 살되, 투자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살 수 밖에 없는 인프라가 갖추어진 대도시 중심가에 해라! 이 점을 명심 하시기 바랍니다.

    • 이게 각종 커뮤니티에서 의견이 갈려서....누군 오른다 누군 내린다 또는 내리고 오른다......

      저는 어쨋든 부동산은 우상향이다라는 생각이기 때문에 여유만 있다면 늘리고 싶네요

      오를때까지 버틸수 있는 능력에 따라 달라질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