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판소리 열두마당 중 많은 수가 유실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판소리는 조선후기에 만들어져서 당시에는 판소리 열두마당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현재 전승되고 있는 판소리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 이렇게 다섯마당만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판소리 열두마당 중 많은 수가 유실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문학 전문가 박에녹입니다.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판소리 다섯 마당 외에 배비장타령, 변강쇠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타령, 강릉매화타령, 가짜신선타령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판소리 초기 한 마당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아 열두 마당을 모두 가창할 수 있었지만, 새로운 내용들이 첨가되고 현실성 없는 이야기 소재 등이 많아지면서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의 다섯 마당으로 정착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조선시대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이 판소리를 함께 향유했다는 점에도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선비들의 성리학적 관점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판소리의 내용들도 있었을 것이고, 지배계층을 비판하는 정도가 심하거나 조선사회 체제를 흔들 수 있는 내용들은 자연스럽게 배제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남아있는 다섯마당에도 지배계층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드러나는 것은 지배계층이 피지배계층이 판소리와 같은 예술의 영역에서 지배층에 대한 분노나 비판적 인식을 표출할 수 있도록 묵인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판소리가 조선사회의 갈등의 조절과 사회적 통합의 기능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해 주는 부분입니다.

  • 판소리 속 이야기의 내용자체는 전부 기록되어 전해지고 있습니다

    열두마당에서 손실된건 "공연"으로써의 모습

    그러니까 음정이나 호객수단 같은 것들인데

    저작권이 어느정도 보장된 현대 정보화 사회와는 정반대로

    조선 시대사회에선 이런 요령과 기술들 하나하나가 전부

    알기만 해도 먹고살 수 있어서 누구나 훔치려하는 "비전" 이었기 때문에

    아예 사제지간이 되어야만 제대로 교육 받을 수 있었 다는 점

    당시에는 그런 민속문화들이 문화가 아니라 말그대로 백성끼리 노는 "잡기"에 불과 했다는점

    (부모들이 게임이나 만화 보는 느낌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일제시대와 6.25를 거치며 한반도의 모든 것이 박살 났었다는 점

    등이 이유입니다

  • 판소리 12마당은 조선 후기에 하나씩 사라져 조선 말기에 활동하던 명창을 마지막으로 춘향가·심청가·흥보가·수궁가·적벽가 다섯마당만 남고 나머지는 모두 전승이 끊어졌습니다. 그리해 현재는 판소리 다섯마당 즉 춘향가, 심청가 등 이렇게 불리게 된 것인데 12마당에서 5마당만 남게 된 이유로는 판소리가 서민들의 애환을 대변해주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기에 양반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으면서 양반들의 기호에 맞는 내용으로 변화됐을 것이라는 추정과 그 사설의 내용이 남녀 상열 지사 등의 내용으로 외설 (猥褻)하고 황탄 (荒誕)해 조잡한 내용을 가진 소리는 차차 안 부르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