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5.04

FOMC회의가 있을떄마다 금리가 변동하던데 어떤곳인가요?

FOMC가 회의를 하게 되었을때 금리가 떨어지고 올라가고 하던데 도대체 어떤단체라서 이렇게 금리가 변동이 심하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이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입니다.

    1913년 창설된 연방준비제도는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 12개의 연준은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와 약 2,800개의 회원은행 등의 독립기관으로 구성된 조직입니다.

    그리고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국 시장의 돈의 양을 조절하는 곳입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투표권은 총 12장입니다. 12장 중 가장 많은 투표권을 가진 것은 FOMC입니다. 7명의 이사가 각각 1장씩, 총 7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7장을 뺀, 나머지 5장은 미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12개의 연방준비은행총재가 돌아가면서 투표권을 행사합니다.

    연방공개시장원회는 1년 동안 약 8번, 약 6주 간격으로 회의를 합니다. 그리고 회의를 통해 연방기금금리가 몇%가 되는게 적절한지, 또 시중에 돈을 얼마나 풀 것인지 결정을 하는 것입니다.


  • 미국 정부의 금융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구입니다. 정기적으로 약 6주마다 연 8회 개최되며 필요 시 수시 개최되기도 하는데, 최종개최일 당일 성명을 통해 기준금리를 공표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FOMC는 연 8회 회의를 갖고 통화정책 변화를 논의하며, 경제 및 금융 환경을 검토하고, 가격 안정성과 고용 산출을 평가하는 곳입니다.

    말씀하신 금리를 결정하는 곳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듣게되는 FOMC회의는 실제 FED가 하는 역할 중으 하나를 말합니다. FED라는 것은 'Federal Reserve Board of Governors'의 약자를 의미하는데 해석하게 되면 미국의 중앙은행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FED의 역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연방준비제도이사회

    연준의 모든 운영방향을 결정하고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미국 대통령은 연방준비법에 따라 7명으로 구성된 이사를 지명하고 미 상원에서 이를 인준하게 됩니다. 이사의 임기는 14년이며, 순차적으로 2년마다 한명씩 임기가 종료되게 됩니다. 이러한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연준 의장과 부의장은 중임이 가능한 4년 임기제로 대통령이 이사 가운데 한명을 지명하고 의회가 인준

    2.연방준비은행

    미국의 중앙은행 체계는 한 곳이 아니라 지역별로 분산되어 있으며, 법적으로 독립된 12개 지역의 연방준비은행의 연합체입니다. 연방준비은행들은 관할 지역의 경기 상황과 금융 기관을 감독하며, 시중 은행에 자금과 결제 시스템을 제공

    3.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FOMC는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7석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7인으로 구성되며, 1석은 뉴욕연방은행 총재가, 나머지 4석은 11개지역 연방은행 총재들이 번갈아가면서 참여

    FOMC회의는 6주에 한 번씩 개최하며, 연간 8회를 개최하게 됩니다. 통화 정책에 대한 결정(금리인상)은 12인에 의해 과반수로 결정하게 되며, 동수인 경우에는 의장이 결정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FOMC의장은 연방준비제도의사회의 의장이 맡으며, 부의장은 뉴욕연방은행 총재가 맡게 됩니다.

    여기서 확인 하실 수 있는 것은 연준의 역할중에서 가장 큰 것은 '금리의 결정'을 한다는 것입니다.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모든 국가가 금리인상을 해야하는 상황에 놓였고 미국의 금리를 쫓아가지 못한 국가들은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크게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연준이 존재 목적은 크게 2가지로 '물간안정', '고용안정'으로 현재는 미국의 물가안정을 위해서 금리 인상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미국의 물가수준에 따라서 금리인상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시에 우리나라 또한 금리인상을 함께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