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

고려 왕조에서 근친 결혼을 하지 않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려시대 초기 왕은 사촌 등 근친 간에 결혼을 했고 심지어 친자매가 한 왕의 부인이 되기도 했는데 언제부터인가 근친혼이 사라졌습니다. 고려 왕조에서 근친 결혼을 하지 않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 유교적인 사회질서가 들어오게 되는데요. 사회질서를 유지하는데에서 부터 과거제, 문무백관의 질서 등 다양한 부분에서 유교적인 부분이 들어오게 됩니다. 그리하여 유교에서는 동성혼을 동물들이나 하는 것이라 했기에 고려초기 부터 있던 근친혼에 대한 부분이 점차 사라지게 됩니다.

    조선시대에는 절대 불가한 것으로 되며, 사실 과학적으로도 근친혼의 경우 열성유전자를 대를 이어 유지시키는 것이기에 좋은 관습은 아닌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근친혼을 하는 경우 그 자손이 소위 건강하지 못하게 태어나는 경우가 많았고, 본능적으로 대를 잇는 데 있어서 조금 더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근친혼을 하지 않게 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건 서양도 비슷한 이유라 할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