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훈육을 해야 할 시점과 방법에 대해
규칙을 세워줘야 하는 건 알지만, 너무 일찍 훈육을 시작하면 오히려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어떤 기준으로 훈육을 시작해야 할까요??
부모가 훈육을 하는 시점과 그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의 바르지 못한 말과 행동은 양육자가 훈육을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가 훈육을 해야하는 시점은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그 즉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훈육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단호해야 합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아이의 잘못을 알려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알려준 후,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 잡아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은 한 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 않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매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훈육은 계속 해주시면 돼요. 다만, 아이가 많이 어릴 때는 부드럽게 이야기를 해주는 거죠. 규칙이라는 단어를 꺼내지 말고 아이가 해야 할 일, 해서는 안되는 일을 반복해서 말해주면 됩니다. 그 이후에 아이가 자라면서 점진적으로 규칙을 도입하고 아이가 지킬 수 있도록 약속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가 훈육을 해야할 시점으로는 아이가 버릇없는 행동을 할때 대화로 아이에게 훈육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부모로서 훈육을 시작할 시점과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아이가 자아를 형성하고, 사회적인 규범을 배우는 과정에서 적절한 훈육은 필수적이지만, 너무 일찍 시작하거나 지나치게 엄격하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훈육을 시작하는 시점은 아이의 연령과 발달에 맞춰 점차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이른 시점에 지나치게 엄격한 훈육을 시작하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발달 수준에 맞게 점진적으로 규칙을 세우고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훈육은 아이가 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이므로, 부모와 아이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기회로 삼는 것이 중요합니다. 훈육을 해야할 시점과 방법에 대해 어느정도 참조가 되셨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