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의연한사랑새1
의연한사랑새1

한국에서 중국으로 주류를 수출하려 하는데 그 과정과 내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20살 무역학과 학생입니다

무역학원론 과제로 자신이 선택한 물품을 자신이 선택한 국가에 수출하는 전략 레포트를 작성해야 하는데요

저는 중국에 제로 칼로리 주류를 수출하는 내용으로 레포트를 쓰려고 합니다

질문 1. 한중 FTA에 따라 맥주는 세율이 0%인 걸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

질문 2. 소주의 수출 세율은 어떻게 되나요?

질문 3. 무역 대금은 달러로 결제하나요 아님 위안으로 결제하나요?

질문 4. 보통 주류는 어떤 운송 방식을 택하나요? (항공, 수상 등)

질문 5. 주류 수출 계약은 보통 어떻게 행해지나요? (계약을 보통 누구와 맺는지 궁금합니다 예시로 대형마트랑 맺는지 기업과 맺는지 이런 거요)

질문 6. 수출시 작성해야 하는 서류가 무엇이 있나요? (원산지 관련 등)

질문 7. 수출시 고려해야 하는 중국 법은 무엇이 있나요?

질문 8. 위 질문 외 기타 더 알아두어야 할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질문이 좀 많지만 답변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질의하신 부분에 대하여 간단하게 답변드립니다.

      질문 1. 한중 FTA에 따라 맥주는 세율이 0%인 걸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

      -> 네, 맥주는 HS code 제 2203호에 분류되며, 한중 FTA 적용시에는 0%의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 2. 소주의 수출 세율은 어떻게 되나요?

      -> 소주의 중국 수입세율은 기본세율 10%에 한중 FTA 적용시에는 6%의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 3. 무역 대금은 달러로 결제하나요 아님 위안으로 결제하나요?

      -> 중국이랑 거래를 하는 경우에도 USD를 많이 사용하지만, 구매자가 요청하는 경우에는 CNY로 결제하는 경우도 종종있습니다.

      -> 따라서 해당 부분은 협의를 통하여 결정할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질문 4. 보통 주류는 어떤 운송 방식을 택하나요? (항공, 수상 등)
      -> 중국 수출의 경우에는 선박으로 보내더라도 1~2일이면 중국에 도착하기에 보통은 선박으로 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 5. 주류 수출 계약은 보통 어떻게 행해지나요? (계약을 보통 누구와 맺는지 궁금합니다 예시로 대형마트랑 맺는지 기업과 맺는지 이런 거요)

      -> 해당부분은 산업의 구조를 확인해봐야겠지만, 통상적으로는 중국 현지 도매상과 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간단하게, 중국수입 도매상이 수입을 하고 해당 도매상이 중국내 국내 유통을 진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질문 6. 수출시 작성해야 하는 서류가 무엇이 있나요? (원산지 관련 등)

      -> 수출시에는 수출신고서 / B/L / 패킹리스트 / 인보이스 / 원산지증명서가 필요합니다.

      -> 원산지증명서의 경우 한중-FTA는 기관발급대상으로 상공회의소나 세관에 신청하시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 7. 수출시 고려해야 하는 중국 법은 무엇이 있나요?

      -> 주류와 관련하여는 관세법 그리고 주세법에 대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현지 법에 대하여 확인이 어려운 경우에는 INCOTERMS 거래조건 중 중국 수입통관을 매수인이 하는 FOB / CIF 등의 조건을 활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질문 8. 위 질문 외 기타 더 알아두어야 할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일단 중국의 거래처를 찾고 적정한 가격에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중요할 듯 합니다.

      -> 그리고 주류의 경우에는 공장을 통하여 공급받는 것이 가장 좋으나, 물량이 적은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이 어렵기에 국내 도매상을 통하여 구매한다고 가정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질문 1. 한중 FTA에 따라 맥주는 세율이 0%인 걸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

      ▶ 맥주의 HS코드는 2203.00호입니다. 해당 세번은 중국내에서 기본세율도 0%, 한-중FTA세율도 0% 동일합니다. 다만, 주류 특성상 소비세 Import duty-free price ≥ 0.3745 US dollars / liter of malt brewing beer model is limited to 0.253 yuan / liter import duty-free price < 3745 US dollars germination beer, the investment rate is 02227 yuan / catties;가 기준으로 부과되며, 증치세도 13% 부과됩니다.

      질문 2. 소주의 수출 세율은 어떻게 되나요?

      ▶ 수출세율은 별도로 없습니다. 중국내 소주 수입 세율의 경우 HS코드는 2208.90호에 분류되며, 기본세율 6%, 한-중FTA세율은 6%, 소비세 Composite consumption tax: 20% from the price and 0.912 yuan per liter, 증치세 13% 부과됩니다.

      질문 3. 무역 대금은 달러로 결제하나요 아님 위안으로 결제하나요?

      ▶ 매매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라 어떤 통화로도 가능합니다. 달러, 위안, 한화 등 모두 가능합니다.

      질문 4. 보통 주류는 어떤 운송 방식을 택하나요? (항공, 수상 등)

      ▶ 주류는 보통 대량으로 수출입되기에 선박을 많이 사용합니다. 다만, 긴급한 건의 경우 항공으로도 실을 수 있습니다.

      질문 5. 주류 수출 계약은 보통 어떻게 행해지나요? (계약을 보통 누구와 맺는지 궁금합니다 예시로 대형마트랑 맺는지 기업과 맺는지 이런 거요)

      ▶ 주류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입을 제한하고 있고 특정 허가를 받은 자만이 수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대형마트랑 계약을 하는 것이 아닌 수류수입판매업자와 주로 계약을 하게 됩니다. 대형마트는 수입 이후 유통 단계에서 계약하여 구매하게 됩니다.

      질문 6. 수출시 작성해야 하는 서류가 무엇이 있나요? (원산지 관련 등)

      ▶ 주류 수출시에는 기본적으로 인보이스/팩킹리스트/성분표/수출국내검사증명서 등이 포함되며 중국 내 주류 수입 요건에 따라 추가적으로 필요한 서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 7. 수출시 고려해야 하는 중국 법은 무엇이 있나요?

      ▶ 주류는 대부분 수입 시 엄격한 제한을 두고 있기에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만 수입이 가능합니다. 해당 부분은 국내에서 명확히 확인이 어렵기에 코트라에 중국 주재 담당관에게 문의해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질문 8. 위 질문 외 기타 더 알아두어야 할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주류는 일반적으로 수입이 쉽지 않습니다. 관련 자격과 요건을 갖춘 경우만 수입이 가능하며 수입 시에도 물품 검사 등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또한 소비세 등 관세 이외의 추가적으로 붙는 내국세가 고율인 경우가 많으니 사전에 정확히 확인 후 무역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실제 수출시 관세사 등을 통해 다시 확인하셔야 함을 안내드립니다.

      1. 맥주의 경우 최혜국 대우 세율 자체가 0%로 한-중 fta 적용이 필요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2. 우리나라는 수입물품에 대하여만 관세를 부과하며 수출세율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소주의 경우 중국내 관세 적용되며 fta 미적용시 10%, 적용시 5.5% 적용이 이루어집니다.(2023년 기준, 매년 0.5%씩 감소)

      3. 무역대금은 당사자간 결제통화를 선택하며 원화, 위안화, 달러화 등 선택가능합니다.

      4. 주류의 경우 그 무게 자체가 상당하여 가격이 비싼 술이 아니라면 해상운송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5. 정확한 사안에 따라 다르겠지만 주류의 경우 일반적으로 대형마트 등과의 직접계약보다는 주류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주류 도매상과의 계약이 많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6. 수출시 작성서류는 대표적으로 Commercial Invoice, Packing List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원산지증명서 등이 작성될 것이며, 주류 판매시 중국내 요청서류 등을 준비하셔야할 것입니다.

      7.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sf.kiep.go.kr/consultingInfoView.es?article_id=46270&mid=a20400000000

      감사합니다.

    • 한국산 주류인 맥주, 소주를 중국으로 수출하는 무역관련 질문에 대하여 답변 드립니다.

      1, 2번에 대하여, 맥주는 품목분류 세번이 한국은 HSK 2203-00-0000호, 중국은 HS 2203-0000호이고, 소주는 품목분류 세번이 한국은 HSK 2208-90-4000호, 중국은 HS 2208-9090호로 분류되고, 소주의 경우 중국 관세율은 2019년 기준 최혜국세율(MFN) 10%,,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세율 8.8%, 한중 FTA협정세율 7.5%로 가장 낮은 세율인 한중 FTA협정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한중 FTA협정세율는 연차적으로 인하되어 2034년에는 0%가 되는 바, 올해 2023년은 7.5%보다 더 낮은 세율일 것으로 판단되고, 추가로 증치세(부가가치세), 소비세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3. 주로 기축통화인 미국달러화로 결제가 이루어지고, 중국 위안화로도 결제가 가능합니다.

      4. 주류는 화물 특성상 부피 및 중량이 커서 운임이 저렴한 선박편에 컨테이너화물로 적재하여 해상운송하고 있습니다.

      5. 주류는 수입업체가 중국 정부에 수입식품등록시스템에 등록완료하여 등록번호를 받은 기업만이 수출입이 가능합니다.

      6. 주류 수입시 구비서류

      1) 계약서, 인보이스, 패킹리스트, 선하증권 등 선적서류

      2) 제품자료 : 외포장지전개도(중국어), 영양성분시험성적서, 성분배합율표, 제조공정도 등

      3) 한국 식약청 등 검역기관에서 발급한 위생증명서, 원산지증명서

      4) 검사검역기관 또는 해관이 요구하는 기타 증빙서류

      7. 중국정부의 수입식품관련 해관법, 식품안전법, 수출입상품검사법 등 법률, 행정법규, 부서규장 등도 알아야 합니다.

      8. 추가로 주류는 HS CODE에 따라 세율이 다르므로 유의하고, 주류는 인화성 화물로 취급되어 소방안전부처의 창고소방안전관련 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주류 식품 검역과정에서

      식품류에 첨가되는 물질이 중국정부의 규정에 맞지 않으면 불합격되어 수출불가능한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